많은 국민이 근로와 창업, 퇴사, 취업 준비 등 고용 관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어디에 도움을 요청해야 할지 몰라 답답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용 불안정 문제는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경제 활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근로자, 창업가, 퇴사자, 취업 준비생 등 모든 국민이 고용과 관련된 궁금증이나 어려움을 언제든지 무료로 상담받을 수 있도록 ‘고객상담센터 1350’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고객상담센터 1350은 ‘인터넷 상담(모바일 상담)’, ‘채팅 상담(실업급여 전용)’, ‘유선전화’의 세 가지 채널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터넷 상담은 실시간 게시판 형태로 운영되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등록 가능하다. 이 서비스를 통해 한 시민은 퇴사를 앞둔 친구의 퇴직금 관련 고민을 대신 문의했다. 상담사는 퇴직금 미지급 시 법적 위반 가능성을 언급하며, 지방고용노동관서 민원실 상담 후 진정 제기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구체적인 안내를 제공했다. 특히, 진정 제기는 재직 중이거나 퇴직 후 14일 이내에 지급받지 못한 경우에 한해 가능하다는 정확한 시점까지 안내받았다.
실업급여 관련 질문은 ‘채팅 상담(실업급여 전용)’을 통해 더욱 신속하고 명확하게 해결할 수 있다. 어머니의 회사를 둘러싼 대표자 변경 문제로 실업급여 수급 자격에 대한 궁금증을 가진 한 시민은 채팅 상담을 통해 명쾌한 답변을 얻었다. 사장(대표자)이 변경되었으나 기존 근로자가 그대로 승계되지 않는다면 실업급여 대상자에 포함될 수 있다는 사실과 더불어, 정년퇴직 예정자 역시 실업급여 지원 대상자에 속한다는 새로운 정보도 알게 되었다. 이는 어머니에게 더 나은 미래를 계획할 수 있는 긍정적인 소식이 될 수 있었다.
‘유선전화’ 상담은 ARS와 보이는 ARS 방식으로 운영되며, 이용자는 자신의 편의에 맞춰 상담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한 이용자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자격에 대한 문의를 위해 보이는 ARS를 통해 상담원과 연결되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I, II 유형 간의 심사 순서 및 창업 지원 가능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들었으며, 창업 희망 시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과 연계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국민내일배움카드 담당자와의 연결을 통해 카드의 전국 사용 가능 여부, 분실 신고 및 재발급 절차 등에 대한 안내를 받았으며, 유선전화 상담 시에는 프로그램 추천 등 세부 사항보다는 지원 자격, 신청 결과 시기, 주의사항 등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상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조언을 얻었다.
이처럼 고객상담센터 1350은 세 가지 채널 모두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며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유선 상담은 카테고리별 담당자 연결을 통해 질문에 막힘없이 답변을 제공하며, 이용자가 사전에 훈련 과정 등을 찾아보고 문의하면 더욱 심도 깊은 상담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1350 상담센터의 운영은 복잡하고 어려운 고용 문제에 직면한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안정적인 고용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