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광범위한 장애가 발생하며 국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긴급한 안전 및 재난 관리 서비스와 국가의 중요한 기록물 접근이 중단되면서 행정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복구 속도 제고 및 행정 서비스 공백 최소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일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 회의를 개최하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의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가 재개되었다. 이 중에는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국가기록포털이 포함되어, 긴 연휴를 앞두고 국민들의 안전과 재난 관리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행정전산망 장애로 인한 불편과 걱정에 대해 송구하다는 뜻을 밝히며,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복구에 최우선을 두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인력을 현장에 투입했으며, 예비비를 투입하여 복구 작업을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와 더불어,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체 수단 제공 노력도 병행되고 있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 사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상담 서비스를 재개했다.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부분은 적극적으로 보완하여 국민 불편을 최소화해 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윤 장관은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여 신속한 복구를 추진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의 행정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