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우리나라가 기술이사회(TMB) 연임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그간 우리나라가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쌓아온 역량을 국제사회로부터 다시 한번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2028년까지 기술이사국으로서 ISO의 기술 정책 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 것이다.
이번 연임의 배경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국제 표준화 활동은 국가 간 기술 경쟁력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이며, 기술 발전에 발맞춘 신규 표준의 제정 및 기존 표준의 정비는 필수적이다. ISO의 핵심 의사결정 기구인 TMB는 이러한 표준 활동의 전반을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규 표준위원회 설립 및 해산, 표준위원회 간 업무 조정, 의장국 임명 등 ISO의 기술 표준화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안들을 다루는 곳이다. 따라서 TMB에서의 활동은 우리나라의 기술 발전 방향 설정 및 국제 사회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의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이 이번 총회에서 제시되었다. 우선, 우리나라는 TMB 연임을 통해 ISO의 기술 정책 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우리나라가 국제 표준화 방향을 주도하고, 우리 기술의 국제 표준화를 촉진할 수 있는 강력한 발판이 된다. 더불어, ‘GPS 기반 개인 위치 서비스 기술’ 분야의 새로운 표준위원회 설립을 제안하고, ISO 회원국의 지지를 얻기 위한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주관 개최했다. 이는 미래 유망 기술 분야에서의 국제 표준 선점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일환이다. 또한, 캐나다, 이탈리아 등 주요국 표준화 기관과의 협력 MOU 체결 및 오는 12월 개최될 ‘국제 AI 표준 서밋’에 대한 주요 인사들의 참여 요청은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미래 기술 표준화 논의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이번 ISO 기술이사국 연임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의 영향력은 더욱 확고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며 국제사회가 신뢰하는 표준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우리나라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며, 미래 기술 생태계 조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