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급증하면서, 은행권이 고객 자산 보호를 위한 이체 절차 강화에 나섰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목돈 이체를 위해 은행을 찾은 시민 A씨는 달라진 이체 절차에 당황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과거와 달리 까다로워진 절차의 배경에는 날로 지능화되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금융 당국의 강력한 대응 의지가 담겨 있다.
은행 창구를 이용하는 고액 인출 및 이체 거래 고객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홍보 영상을 반드시 시청해야 한다. 영상 시청과 더불어 실제 발생한 최신 보이스피싱 사례가 안내되며, 60대 이상 여성 등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한 금융사기 예방 문진표 작성도 병행된다. 한 은행은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전담 창구를 설치하는 등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고객들의 ‘내 돈 찾기 힘들어진다’는 불만을 야기하기도 하지만, 은행 측은 “고객님의 소중한 자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함”이라고 강조하며 양해를 구하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 이후에는 교통 범칙금, 명절 선물, 대출, 택배 등 명절 관련 정보를 사칭한 보이스피싱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감독원과 범금융권은 ‘보이스 피싱 의심하Go, 주저 없이 전화 끊Go, 해당 기관에 확인하Go’라는 ‘보이스 피싱 제로(Zero) 캠페인’을 통해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금전 선입금을 요구하는 전화는 무조건 의심하고, 가족이나 자녀에게 먼저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최근 금융권에서 전송된 안내문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1~7월) 보이스피싱·문자 결제 사기 범죄 피해액은 7천 99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7월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1천 345억 원으로 월별 피해액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의심되는 링크를 클릭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발신 번호는 금융사기 통합 신고 대응센터(1566-1188)에서 24시간 확인 가능하다. 경찰청과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이 센터는 신고 이력 조회 및 112 신고 연결까지 지원한다. 만약 악성 앱을 설치했다면 경찰서를 방문하여 전용 제거 앱을 받을 수 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9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보이스 피싱 정책,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한다. 총 상금 1천 600만 원이 걸린 이번 공모전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사후 구제 관련 신규 제도 제안, 빅데이터·AI·FDS 활용 탐지 기법,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영상 제작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할 예정이다. 이번 강화된 예방 조치들이 보이스피싱 피해 확산을 막고, 고객들의 소중한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