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9일 목요일, 한글날을 기념하여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특별한 행사를 마련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올바른 언어 사용 문화를 확산하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참가자들은 잔디밭 위에 설치된 다양한 부스에서 우리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최근 우리 사회는 외래어의 무분별한 사용과 더불어 지역별 사투리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는 현상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외래어를 우리말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하거나, 다양한 사투리의 가치를 간과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언어 환경 속에서 <우리말 가꿈이>는 우리말을 제대로 알아가고 친해질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섰다.
행사의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이 마련되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로 다양한 사투리를 지도 위에 표시하고 자신의 고향 사투리를 적어보는 활동을 통해 사투리의 풍성함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또한,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엽서를 꾸미는 시간을 가졌으며,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선택하는 게임을 통해 우리말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했다. ‘한글에서 ‘한’은 무엇을 의미할까?’와 같은 퀴즈를 통해 한글의 근본적인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도 가졌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와 같이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꾸는 연습을 하며 공공언어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참가자들은 각 부스에서 스탬프를 5개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방식으로 모든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우리말과 친숙해지는 경험을 쌓았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우리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더불어, 언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얻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다고 평가했다. 또한, 외래어 사용을 줄이고 우리말을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하겠다는 다짐을 새롭게 하기도 했다. <우리말 가꿈이>는 이번 기념행사가 우리말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젊은 세대의 노력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10월 한 달간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 국어문화원 및 우리말 가꿈이 기념행사가 이어질 예정이며, 이를 통해 우리말 사용 증진과 올바른 언어 문화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가자들은 행사 장소 및 날짜 변동 가능성에 유의하여 사전에 확인 후 참여할 것을 권장한다. 궁극적으로 특정 기념행사를 넘어 평상시에도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조속히 형성되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