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찾아오며 시민들의 몸과 마음에 무기력감을 안겨주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는 강해지지만, 시간적, 경제적 제약으로 인해 당장 여행을 떠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도서관협회 공동 주관의 ‘길 위의 인문학’ 사업에 참여하며 새로운 형태의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가가77페이지’는 복합문화공간을 지향하는 독립 서점으로, SNS를 통해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의 일환으로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 신청자를 모집했다. 이 프로그램은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평소 접하기 어려운 인문학적 주제를 친숙한 영화와 연결하여 참여자들에게 깊이 있는 사유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상명 가가77페이지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 생각의 밭과 마음의 밭을 넓히는 데 있다”며, “어렵게 느껴지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영화를 통해 친숙하게 다가가고, 관련 서적을 통해 깊이를 더하는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특히, 12세 이상(영화 <그녀>는 15세 이상) 관람 가능한 영화를 선정하여 참여 대상을 폭넓게 설정한 점이 눈에 띈다.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첫 회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하고 이에 대한 강연과 참여자들의 생각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을 주제로 한 이 영화는 “카르페 디엠(Carpe Diem)”, 즉 현재를 즐기라는 메시지로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강연 활동지에 자신의 생각을 기록하고 공유하며, 영화 속 메시지를 자신의 삶에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참여자 박근주 씨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싶었다”며, “일상의 반복에서 벗어나 강연자와 참여자들과 소통하며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고 프로그램 참여 계기를 밝혔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사고력 확장을 돕는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가 듣고 싶은 강연을 원하는 방식으로 듣고 싶다는 생각에서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참여를 결정했다”며, “인문학은 AI 시대에도 더욱 중요해질 것이며, 인문학적 사고 체계는 AI를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활용하는 근간이 된다”고 덧붙였다. 또한, “출판 시장의 위기 속에서 책방이야말로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다”며, “가가77페이지가 다양한 문화를 담고 즐기며 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남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 아래 전국 곳곳의 도서관과 서점을 중심으로 펼쳐지고 있다.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이 만나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는 이번 사업은, 동네 서점에 활력을 불어넣고 시민들에게는 삶의 지혜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하반기에도 전국 각지에서 이어질 인문학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