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변덕스러운 날씨만큼이나, 우리 삶 속에서 점차 잊혀가는 취미가 있다. 바로 ‘우표 수집’이다. 한때는 누구나 즐기는 대중적인 취미였지만, 오늘날에는 그 위상이 크게 퇴색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초등학생 시절, 방학 숙제를 위해 ‘우표 수집’을 주제로 책받침을 만들었던 이재우 강원지방우정청 주무관의 경험은, 1990년대 우표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의미를 주었는지를 엿볼 수 있게 한다. 당시에는 기념우표가 발행되는 날이면 새벽부터 우체국 앞에 길게 줄을 서는 진풍경이 펼쳐질 정도로 우표 수집의 인기는 대단했다. 마치 최근 유행했던 캐릭터 스티커 모으기와 같이, 1990년대의 ‘우표’는 그만큼 많은 이들의 일상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손으로 쓴 편지가 점차 사라지고, 그에 따라 우표를 접하거나 우표 수집가를 만나는 일 또한 더욱 어려워졌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우표 수집이 가진 본질적인 매력을 다시금 조명하고 이를 통해 사람들이 즐거움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우표는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년 다양한 디자인의 기념우표가 발행되어 모으는 재미를 더하며, 국내 우표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 수집욕을 해외 우표로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매력의 폭이 무궁무진하다.
우표는 크게 ‘보통우표’와 ‘기념우표’로 구분된다. ‘보통우표’는 우편요금 납부를 주목적으로 발행되며, 소진된 만큼 지속적으로 발행되는 반면, ‘기념우표’는 특정한 사건이나 인물, 자연, 과학기술, 문화 등 다양한 주제를 기념하기 위해 발행된다. 이러한 기념우표는 정해진 발행 기간과 수량으로 인해 보통우표보다 희소성이 높다. 대한민국에서는 우정사업본부가 매년 약 10~20회에 걸쳐 기념우표를 발행하며, 2025년에는 총 21종 발행이 계획되어 있다. 최근에는 가정의 달을 맞아 ‘사랑스러운 아기’ 기념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기념우표 발행은 우정사업본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각 지방우정청이나 우체국,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자체적으로 기념우표를 기획 및 제작하며 지역의 특색을 담아내고 있다. 지난해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력하여 발행한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 우표첩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내며 큰 호평을 받았다. 또한 태백우체국의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양구군의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 등은 지역의 아름다움을 홍보하는 수단으로서도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처럼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우표가 예전의 명성을 잃어가는 현실은 안타까운 일이다. 한때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던 우표가, 변화된 시대 속에서도 여전히 누군가에게 소중한 즐거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하며, 우표 수집의 매력을 다시 한번 널리 알리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