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장생포는 과거 거대한 고래잡이 산업의 중심지였으나, 이제는 그 흔적만이 남아 과거의 영화를 증언하고 있다. 수심이 깊고 다양한 먹이가 풍부했던 장생포 앞바다는 선사시대부터 고래들의 보금자리였으며, 이는 반구대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잡이 그림 등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동해와 남해가 만나는 교차점에 위치하며 여러 강에서 유입되는 풍부한 부유물은 고래뿐만 아니라 새우를 비롯한 작은 물고기들의 풍요로운 서식 환경을 제공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장생포는 포경업이 번성하며 지역 경제를 이끌었으며, 당시의 부유함은 “개가 만 원 지폐를 물고 다녔다”는 말로 회자될 정도였다.
그러나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장생포의 고래잡이 산업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한때 번성했던 냉동 창고들은 경영 악화로 문을 닫고 폐허로 남았다. 이러한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시킨 것이 바로 장생포문화창고다. 2016년 울산 남구청이 건물과 토지를 매입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 2021년 개관한 이곳은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거점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체험과 전시를 통해 시민들에게 무료로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장생포문화창고는 총 6층 규모로,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을 갖춘 지역 문화 예술의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특별전시관, 갤러리, 상설 미디어아트 전시관 등은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며, 특히 2층 체험관의 ‘에어장생’ 프로그램은 어린아이들과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즐거운 추억을 선사한다.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회는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 조선을 대표하는 화가들의 작품을 미디어 아트로 재해석하여 감동을 선사하며, 지역 문화 예술 발전에 힘쓰는 ‘고래문화재단’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더불어 수십 년 된 냉동 창고 문을 그대로 보존하며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는 업사이클링의 좋은 사례를 보여준다.
특히, 2층에 상설 전시된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은 울산의 근현대 산업 발전사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석유화학단지, 자동차, 조선 등 중화학공업이 집약된 울산은 ‘한강의 기적’을 이끈 산업 심장부였지만, 동시에 굴뚝 연기로 인한 ‘온산병’과 같은 중금속 중독 질환의 아픈 역사도 간직하고 있다. 과거의 개발 과정에서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되돌아보며 현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가 된다.
비록 상업 포경은 금지되었지만, 장생포에서는 여전히 고래고기를 맛볼 수 있다. 주로 혼획된 밍크고래 등을 합법적으로 유통하는 고래요릿집들은 ‘고래고기는 장생포에서 먹어야 제맛’이라는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은 고래고기를 더욱 특별한 음식으로 만들며, ‘일두백미(한 마리에서 열두 가지 맛)’라는 말처럼 다양한 부위에서 다채로운 맛을 느낄 수 있다. 살코기, 껍질, 혀, 창자, 염통 등 식용 가능한 모든 부위는 저마다의 독특한 식감과 풍미를 자랑하며, 고래껍질 중 고급 부위인 ‘우네’와 피하지방과 근육층이 겹겹이 쌓인 ‘오배기’는 고래고기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부위다.
장생포의 고래요릿집은 단순히 음식을 제공하는 장소를 넘어선다. 이곳은 사라진 산업과 생업, 포경선에 대한 향수를 담고 있으며, 과거를 애도하고 회상하는 의례적인 공간이다. 고래로 꿈을 꾸었던 어부들, 고래고기로 단백질을 보충했던 이들,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일군 산업 역군들을 기리는 문화적 지층이 이곳에 자리하고 있다.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고래고기는 과거의 기억을 씹고 도시의 역사를 삼키며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하는 매개체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