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내수 소비가 부진하고 소상공인들의 경영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전국 단위 소비 촉진 행사였던 ‘9월 동행축제’가 6634억 원이라는 상당한 매출을 기록하며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 축제는 단순한 할인 행사를 넘어, 실질적인 내수 진작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보여준다.
지난 9월 30일까지 진행된 ‘9월 동행축제’는 온·오프라인 판매전을 통해 총 6307억 원의 직접 매출을 올렸으며, 더불어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를 견인하며 내수 시장 활성화에 기여했다. 이러한 성과는 소비 심리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에게 단비와 같은 기회로 작용했다.
이번 축제의 핵심 목표는 경기 침체 속에서 소비 회복세를 확산시키고 소상공인의 매출을 실질적으로 늘리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함께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양한 이벤트들을 기획했다. 온라인 판매전에는 2만 7000여 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제시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도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대표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번 축제는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상권 및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어, 전체 행사 중 76%인 110곳을 비수도권 지역에서, 24%인 34곳을 인구감소 지역에서 진행했다. 제주에서 열린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이 방문했으며, 이틀간 진행된 판매전에서는 제주 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고, 그중 8개 업체는 첫날 완판하는 기염을 토했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 역시 9월 9일부터 11일까지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상생하는 유통 구조 구축에 기여했다.
이 밖에도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 주도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가 눈길을 끌었다.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는 1000만 명이 응모했다.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또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캐시백 및 할인 혜택을 강화하며 골목상권 활성화에 힘을 보탰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할인쿠폰과 더불어 집중호우 피해 지역의 가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추가로 발급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의 회복을 지원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가 소상공인에게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강조하며, 정부는 앞으로도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소비 심리 위축과 소상공인 경영난이라는 어려운 과제를 극복하고 경제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