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화되는 기반 시설, 기후 변화의 압박, 증가하는 산업 수요, 그리고 숙련된 엔지니어 부족이라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한 전 세계 수처리 및 폐수 처리 산업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이 산업은 이러한 난관을 극복할 인재와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관되지 않거나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 원인은 과거의 오래된 시스템에서 비롯된 파편화되고 관리되지 않는 데이터에 있다.
과거 수십 년 전에 구축된 수처리 및 폐수 처리 인프라에서 발생하는 중요 데이터는 종종 사일로화되거나, 구식 형식으로 저장되거나, 은퇴를 앞둔 전문가들의 암묵적인 지식으로만 남아 있는 필기 형태로 존재한다. 포르투갈 리스본의 수도 회사(EPAL)의 자산 관리 책임자인 누노 메데이로스(Nuno Medeiros)는 많은 유틸리티들이 과거 SCADA 및 지리 정보 시스템과 같은 초기 기술을 채택했지만, 센서로부터 더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를 추출하고 통합할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곧 ‘쓰레기 데이터’가 ‘통찰력’으로 전환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 파편화 문제는 2025년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벤틀리 시스템즈(Bentley Systems)의 인프라스트럭처 연례 회의(Bentley Year in Infrastructure 2025 Conference)에서 주요 논의 사항으로 떠올랐다. 이 회의에서 산업 리더들은 인공지능(AI)이 어떻게 이러한 단편적인 데이터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했으며, 이를 통해 유틸리티들이 반응적인 유지보수에서 벗어나 선제적이고 적응적인 계획 수립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강조했다. AI는 오래된 데이터를 재해석하고, 가치 있는 통찰력을 추출하며, 궁극적으로 수처리 및 폐수 처리 시스템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AI 기술의 도입은 수처리 및 폐수 처리 산업이 직면한 데이터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운영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노후화된 인프라 관리, 기후 변화 적응, 산업 수요 충족, 그리고 숙련 인력 부족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결국, AI는 ‘쓰레기 데이터’를 ‘귀중한 통찰력’으로 전환시켜, 수처리 산업의 혁신적인 발전을 이끌 원동력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