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이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을 포함한 연금 자산 순증액에서 전년 대비 1조 원을 돌파하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했다.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신한투자증권의 연금 자산 총액은 8조 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는 단순히 자산 규모의 증가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은퇴 자산 관리 및 노후 대비에 대한 고객들의 높은 관심과 신한투자증권의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이 시너지를 발휘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번 연금 자산 증가를 견인한 주요 요인은 확정기여형(DC형) 및 개인형퇴직연금(IRP) 고객의 꾸준한 유입과 잔고 확대다. 구체적으로 퇴직연금 잔고 중 DC형은 지난해 말 대비 18%, IRP는 38% 증가했으며, 특히 1억 원 이상 고액 잔고를 보유한 IRP 고객 수는 전년 대비 40%나 늘어났다. 이는 저금리 환경 속에서도 고객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은퇴 자산 마련에 나서고 있으며, 그 중심에 신한투자증권이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체 투자 자산 중 펀드와 채권 등 비원리금 비중이 34%로 증가한 점은 고객들이 장기적인 수익률 향상을 위해 투자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펀드는 32%, 채권은 58%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이러한 추세를 뒷받침한다.
신한투자증권 연금 자산의 이러한 성장세는 고객의 실질적인 수익률 향상을 목표로 한 적극적인 제도 도입과 서비스 강화에서 비롯된다. 특히 ‘조건 없는 IRP 계좌 관리수수료 0%’ 제도는 고객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 IRP 계좌 유입 및 잔고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신한Premier 연금 서비스’는 고객들의 은퇴 자산 관리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최근에는 희망퇴직을 앞둔 고객들을 대상으로 ‘신한Premier 절세 클래스’를 상시 운영하며 실시간 화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상품 판매를 넘어, 고객의 퇴직금 절세 전략 수립부터 퇴직금 운용, 연금 개시 및 인출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친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각 회사별 퇴직 시기에 맞춰 제공되는 퇴직금 관련 상담 서비스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고객들에게 끊김 없는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연금사업본부, 자산관리컨설팅부, 세무/회계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 조직의 협력을 통해 고객들이 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정용욱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총괄사장은 “앞으로도 고객이 안정적으로 퇴직 자산을 운용하고 은퇴 이후 생활을 준비할 수 있도록 검증된 전문가 조직과 시스템을 마련하겠다”며 “고객의 은퇴 자산 형성 및 인출 전 과정에 걸쳐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신한투자증권이 단순한 금융 상품 제공자를 넘어, 고객의 성공적인 노후를 지원하는 든든한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