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여름, 더위를 식혀줄 시원한 별미로 빙수가 떠오르고 있다. 과거에는 더위를 쫓는 ‘납량’의 상징이었던 빙수가 현재는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곁을 채우고 있다. 특히 얼음과 팥의 조화로움으로 시민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는 부산의 ‘할매 빙수’는 빙수 왕국이라 불리는 이곳의 특별한 정체성을 보여준다.
과거 여름이면 방송사마다 ‘납량특집’ 프로그램을 선보였듯, 음식계에서는 빙수가 더위를 쫓는 대표적인 역할을 했다. 1970년대,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는 에펠탑 모양의 수동 빙수기계로 만든 십 원짜리 빙수를 맛볼 수 있었다. 지금은 흔하게 접할 수 있지만, 당시에는 돈이 없어 침만 삼키며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만족해야 했던 추억의 음식이었다. 주인은 아이스박스에서 얼음을 꺼내 기계에 넣고 손잡이를 돌리면, 수북이 쌓이는 얼음 조각에 색소를 뿌려 숟가락과 함께 내어주었다. 시내 제과점에서는 우유와 연유를 사용해 곱게 간 얼음으로 만든, 혀끝에서 부드럽게 녹는 고급스러운 팥빙수와 ‘후루츠칵테일’ 빙수를 맛볼 수 있었다. 산처럼 쌓인 얼음이 무너지듯 사라지는 모습을 보며 아쉬움을 느끼기도 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눈꽃 빙수’가 등장하며 빙수는 단순한 여름철 별미를 넘어 사계절 즐기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빙수 전문 카페가 생겨나고 호텔마다 경쟁적으로 고급 빙수를 선보이며 ‘빙수 왕국’을 이루고 있다. 그중에서도 빙수의 진정한 왕국이라 불리는 곳은 바로 부산이다. 국제시장, 광복동, 용호동에는 빙수 거리가 조성될 정도로 빙수에 대한 시민들의 애정이 깊다. 부산 사람들이 빙수를 유난히 사랑하는 이유에 대해 주인은 얼음을 보관해야 하는 생선 보관업의 필요성과 더운 날씨로 인한 빙수의 절실함을 언급한다.
부산에는 화려하고 값비싼 빙수도 있지만, 시민들이 가장 사랑하는 것은 수수하고 담박한 옛날 빙수, 즉 ‘할매 빙수’다. 국밥에 ‘할매’라는 상호가 붙는 것처럼, 빙수에도 ‘할매’라는 이름이 붙으며 푸근함과 구미를 당기는 매력을 더한다. 부산 빙수는 불필요한 고명 대신 팥을 푸짐하게 얹어주는 것이 특징이다. 얇게 깎아 사르르 녹는 식감의 ‘눈꽃 빙수’가 전국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지만, 소박하고 투박한 부산식 할매 빙수는 너무 달지 않은 팥과 함께 얼음 위로 푸짐하게 담겨 나와 간식이나 디저트가 아닌 한 끼 식사로도 손색없다는 평을 받는다.
이러한 빙수에 대한 애정은 먼 곳에서도 이어진다. 미국에 사는 한 친구는 여름이면 냉면을 먹기 위해 몇 시간씩 차를 몰아 큰 도시로 향하며, 돌아가는 길에 팥빙수 한 그릇을 사 먹는다고 한다. 그는 팥빙수를 앞에 두고 겨울이면 한강에서 얼음 부역을 했던 선조들의 이야기를 떠올리며 자신이 늙어감을 느낀다고 전한다. 조선시대에는 겨울철 한강에서 캐낸 얼음을 서빙고, 동빙고에 저장해 여름철 궁에서 사용하며 음식 재료의 부패를 막는 냉장고 역할을 했다. 당시 서민들에게 여름 얼음은 궁에서나 볼 수 있는 귀한 것이자 상상 속의 존재였다. 얼음이 얼마나 귀했는지는 옛이야기를 통해 실감할 수 있다. 이러한 빙수의 오랜 역사와 특별함을 생각하면, 올여름이 저물기 전에 부산으로 달려가 그곳의 정겨운 할매 빙수를 맛보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