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말 사용의 올바름과 언어 문화 개선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일상생활 속 외래어의 무분별한 사용과 우리말에 대한 인식 부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2025년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기념행사를 개최하며 우리말을 되살리고자 하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올림픽공원 잔디밭에 설치된 부스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우리말 가꿈이’는 딱딱하고 어려운 언어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참가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우리말과 친해질 수 있도록 여러 체험 활동을 마련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이 준비되어 있었으며, 이 모든 프로그램은 우리말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올바른 사용을 장려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다양한 사투리의 매력을 체험할 수 있었다. 참가자들은 우리나라 지도에 자신이 알고 있는 사투리나 고향의 사투리를 직접 적어 넣으며, 그동안 알지 못했던 언어적 다양성에 놀라움을 표했다.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순우리말을 활용하여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우리말 겨루기’와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퀴즈와 게임을 통해 올바른 문장 사용법과 외래어 대체 표현 등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 자체의 깊은 의미를 되짚어보며, 우리말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체험 활동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총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방식으로 모든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러한 혜택 제공 방식은 딱딱한 교육이 아닌, 놀이와 참여를 통해 자연스럽게 우리말을 학습하도록 유도하는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작용했다. 행사에 참여한 한 대학생은 “생각보다 훨씬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어 즐겁게 참여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하던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꾸는 연습을 통해 우리말을 더욱 소중히 여기게 되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번 ‘우리말 가꿈이’의 기념행사는 단순히 한글날을 기념하는 것을 넘어, 우리말을 잃어버리기 쉬운 현대 사회에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젊은 세대가 주도하여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되새기고, 일상 속에서 올바른 언어 사용을 실천하려는 노력이 확산된다면, 외래어 남용과 우리말 경시 풍조를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말 가꿈이’는 앞으로도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 한글날 기념행사를 이어갈 예정이며, 한 달간 다양한 체험과 홍보 활동을 통해 우리말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노력을 지속할 전망이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임윤아 rmftmftkfka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