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SCO 세계유산인 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이 운영된다.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단순히 과거의 유적을 둘러보는 것을 넘어, 우리가 직면한 역사적 문제점을 되짚고 미래를 고민하게 하는 교육적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귀중한 역사 교육의 기회가 모든 국민에게 공평하게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왕릉이라는 유산이 지닌 복잡하고 다층적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많은 국민들이 조선왕릉의 역사적 가치를 깊이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 프로그램을 다채롭게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8월 21일(9월 예약), 9월 25일(10월 예약), 10월 16일(11월 예약)에 걸쳐 진행되며, 매회 오전 11시부터 네이버 예약을 통해 선착순으로 참여할 수 있다. 회당 25명(1인당 최대 4명)으로 참가 인원이 제한되지만, 이는 왕릉 답사라는 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한 불가피한 조치이며, 어르신,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02-738-4001)로도 예약이 가능하다.
이번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특히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다루며, 조선 시대 왕릉 문화와 대한제국 시기의 변화를 비교하며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기자가 직접 참여한 ‘순종황제 능행길’ 여정은 구리 동구릉에서 시작하여 남양주 홍릉과 유릉까지 이어지며, 왕릉과 왕릉을 잇는 길 위에서 근대 전환기의 역사와 문화를 몸소 체험하게 했다. 동구릉에는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비롯하여 9기의 능이 모여 있으며, 각 능마다 담긴 역사적 사연과 제향의 의미, 그리고 왕릉 제도 변화의 역사가 흥미롭게 펼쳐졌다.
특히 동구릉의 건원릉 봉분을 덮은 억새는 태조 이성계의 유언에서 비롯된 전통으로, 6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이 인상 깊다. 또한, 표석에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 새겨진 것은 태조의 위상이 황제로 격상되었음을 보여주며 왕릉 제도와 예제 변화를 증명하는 중요한 사료로 기능한다.
한편, 순종 황제 능행길에서는 1908년 순종이 반포한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을 통해 제사 횟수가 축소된 역사적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조선 시대의 전통적인 제사 문화가 대한제국 시기를 거치며 변화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점이다. 홍릉과 유릉은 기존 조선 왕릉의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르며, 석물의 배치, 봉분의 규모 등에서 황제의 권위를 강조했지만, 그 화려함 속에는 주권을 빼앗긴 민족의 아픔이 깃들어 있었다.
이처럼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단순히 과거의 유적을 보는 것을 넘어, 각 시대의 사회적, 정치적 맥락과 함께 역사적 문제점을 자연스럽게 탐구하게 한다. 한 참가 학생이 “역사를 좋아해 아버지와 함께 참여했다”며 “앞으로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역사학자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밝힌 것처럼, 이 프로그램은 미래 세대가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이어갈 것인가를 묻는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 오늘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왕릉은 그 자체로 아름답지만, 그 뒤에 담긴 역사를 외면하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오늘의 의미를 되새기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