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이 오는 11월 10일까지 총 22회 운영된다. 이는 조선왕릉이 단순한 유적지를 넘어, 걸으며 배우고 느끼는 살아있는 역사 교육의 장으로서 그 가치를 재조명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운영 배경에는 왕릉에 담긴 깊은 역사적 맥락과 그 보존의 중요성을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알리고자 하는 고민이 담겨 있다.
이번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특히 2025년 9월 초, 기자가 직접 참여한 ‘순종황제 능행길’과 같이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과거 조선시대 왕릉 중심의 탐방에서 벗어나, 근대 전환기의 역사와 문화를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왕릉 문화를 직접 비교하며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조선왕릉이 지닌 현재적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이 프로그램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릉의 가치를 알리고, 방문객에게는 역사 학습과 함께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예약은 8월 21일(9월 예약), 9월 25일(10월 예약), 10월 16일(11월 예약)에 오전 11시부터 네이버 예약을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회당 참가 인원은 25명으로 제한된다. 어르신,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 예약(02-738-4001)도 가능하다.
구리 동구릉은 9기의 왕릉이 모여 있는 조선 최대 규모의 능역으로, 1408년 태조 건원릉부터 현종 숭릉까지 다양한 시대의 무덤이 자리한다. 이곳에서 해설사는 능역의 구조, 제향의 의미, 그리고 능묘에 담긴 정치적 배경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송시열의 상소로 시작된 표석 설치의 역사와 전서체 사용의 배경 등은 왕릉 제도가 어떻게 예의 엄격함과 기억 보존이라는 장치로 기능했는지를 보여준다.
순종황제 능행길은 대한제국의 비극적 역사와 함께한다. 1908년 순종이 반포한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을 통해 제사 횟수가 축소되고, 한식에서 청명으로 제사 날짜가 변경되는 등 제사 제도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제사 전통의 단절 없는 계승은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봉분을 뒤덮은 억새는 그의 유언에서 비롯된 독특한 전통으로, 600여 년간 이어져 왔다. 건원릉의 표석에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 새겨진 것은 왕릉 제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며, 이는 왕의 위상이 황제로 격상되었음을 나타낸다.
왕릉의 핵심 의례 공간인 정자각은 제물을 차리고 제사를 지내는 중심 건물이며, 이곳의 계단과 신로, 어로 구분은 산 자와 죽은 자의 구분을 상징한다. 축문을 묻는 예감이 쓰였던 고려 시대와 달리, 영조 때부터 중국 제도를 본떠 태우는 방식이 정착된 것도 주목할 만하다.
생전에 왕이 아니었으나 뒤에 추존된 추존왕의 능 역시 정통 왕릉과는 구분되는 특징을 가진다. 동구릉의 수릉은 익종(효명세자)과 신정왕후의 합장릉으로, 비석에는 두 분이 함께 모셔졌음이 명확히 새겨져 있다. 특히 신정왕후의 지위가 높아 일반적인 왕과 왕비의 배치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조선 왕릉 가운데 유일하게 세 기의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경릉의 삼연릉은 헌종과 두 왕비가 합장된 경우다. 이곳의 비석이 여러 차례 다시 새겨진 흔적은 석비 제작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당시의 사정을 보여준다. 홍릉의 비각 표석 또한 대한제국과 일본 간의 갈등 속에서 완성된 역사적 맥락을 담고 있다.
홍릉과 유릉은 기존 조선 왕릉의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른다. 이는 왕조에서 황제국으로 체제를 전환한 것처럼 능의 조영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화려함 속에도 주권을 빼앗긴 민족의 아픔이 깃든 이러한 왕릉들은 현재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그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지만, 그 뒤에 담긴 역사를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오늘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