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의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가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드러났다. 9월 9일(화)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2전시장에서 개최된 ‘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낯섦에서 일상으로’ 현장은 이러한 문제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박람회에는 공공기관 관계자, 시민, 그리고 생산자들이 모여들었지만, 단순히 제품을 전시하고 홍보하는 것을 넘어 실질적인 수요 창출과 판로 확대로 이어지는 과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러한 상황은 박람회 현장에서 곳곳에서 관찰되었다. ‘기업 지원 사업 안내’ 부스와 ‘직업재활 체험 부스’는 많은 사람들의 발길을 끌었으나, 이는 일시적인 관심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도 나왔다. 종이 쇼핑백 만들기, 꽃 만들기 체험에 참여한 관람객들은 제품 하나가 나오기까지 필요한 노동의 가치를 일부 느낄 수 있었지만, 이는 소비로 이어지기까지의 복잡한 유통 과정과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간과하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체험에 참여한 금천구 박O광 씨(32)는 “장애인 생산품을 특별히 사주는 물건으로 보기보다, 정직하게 만든 생활 속 제품으로 받아들여졌으면 한다”고 밝히며, 소비자의 인식 개선과 더불어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했다.
박람회장 안쪽에서는 ‘래그랜느 쿠키’, ‘쌤물자리’,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의 제설제와 세정제 등 다양한 제품들이 전시되었으나, ‘맛·품질·가격’이라는 경쟁력으로 승부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의무적인 구매 비율을 넘어서는 적극적인 판로 개척이 필수적이다. 현장에서는 공공 조달 담당자와 생산 시설 종사자들이 납품 조건 등을 논의하는 모습도 보였지만, 이러한 논의가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아직 많은 과정이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대에서는 우선구매 유공자 포상과 함께 다양한 협약식이 진행되었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협약식을 비롯하여 한국교직원공제회, 한국장애인개발원, 전국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협의회 등 여러 기관과의 협약은 판로 확보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다. 하지만 이러한 협약이 단순한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이행과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경쟁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로,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지방공기업, 지방의료원 등 대통령령과 관련 법률에 따라 정해진 공공기관이 해당 생산 시설의 제품과 서비스를 연간 총구매액의 일정 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더불어 시민들의 자발적인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쿠키 한 봉지, 누룽지 한 팩, 쇼핑백 하나가 누군가의 내일 출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진실은, 실질적인 판로 확대와 제도의 성공적인 안착을 통해서만 현실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