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향유 기회의 지역 불균형 문제가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공연 및 전시 분야에서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화 접근성이 낮은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의 아쉬움이 컸던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는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배포를 시작하며, 특히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을 위한 전용 할인권을 도입하여 문화 생활 접근성을 대폭 높였다.
이번 2차 할인쿠폰은 지난 9월 25일(목)부터 발행되었으며, 1차 할인쿠폰의 유용성을 바탕으로 더욱 확대된 혜택을 제공한다. 기존 전국 단위 할인쿠폰과 더불어, 새롭게 도입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전국 지역 주민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다만, 모든 예매처에서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에서만 발급받을 수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이 전국 할인권보다 더 높은 할인율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공연의 경우 1매당 15,000원, 전시는 5,000원을 할인받을 수 있으며, 각 공연 및 전시 유형별로 2매씩, 총 4매까지 발급된다. 이는 문화생활 비용 부담을 크게 줄여주어,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공연과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할인쿠폰은 11월 27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매주 목요일에 재발급된다. 다만, 발급받은 쿠폰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며, 사용하지 않은 쿠폰은 유효기간 만료 시 자동 소멸되므로 사용 시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의 도입은 실제 문화 향유 경험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 이용객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고향에 머물면서 오랜만에 전시를 관람할 계획을 세웠다”며,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 덕분에 네이버 예약을 통해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 티켓을 정가보다 5,000원 저렴하게 예매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대구 북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열린 이 전시를 방문한 이용객은 뱅크시의 석판화 기법 작품들과 길거리 작품을 사진으로 옮겨온 구성, 그리고 경매 현장에서 그림이 분쇄되는 사건으로 화제가 되었던 <풍선을 든 소녀> 작품 등을 감상하며 깊은 울림을 얻었다고 전했다. 또한, 뱅크시의 사회 문제에 대한 풍자와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을 통해 예술의 역할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특히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의 도입은 지방 문화 거점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권에 집중되었던 문화 향유 기회를 비수도권 지역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지역 주민들이 일상 속에서 더욱 풍부한 문화 예술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서로 소통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된다면, 문화 향유의 지역 격차를 해소하고 전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한층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