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이라는 심각한 위기 속에서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의 중앙 주도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해 나가는 현장 중심의 관광 서비스 강화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이 침체된 지역 관광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사업은 지역의 관광 서비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과제를 발굴하고, 이를 개선하여 우수 사례로 확산함으로써 지역 관광 서비스의 품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는 이 사업은 전국 6곳의 지역 문화관광재단 및 진흥원과 협력하여 지역 특색을 살린 다채로운 관광 콘텐츠 개발에 힘쓰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영덕문화관광재단은 대형 산불 참사 이후 감소한 관광객을 다시 불러들이기 위해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가성비 높은 여행 체험을 제공하며,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등 액티비티와 웰니스 테마 코스를 통해 맞춤형 관광 경험을 선사한다. 더불어 완주문화재단은 지역의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결합한 미식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의 일상을 머무는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한편, 군산문화관광재단은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공모사업을 통해 20년 만에 부활한 군산항 여객터미널을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이라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이곳은 과거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재현한 1층 공간과 휴식 공간, 독립영화 상영관 등을 갖춘 2층, 그리고 군산 내항의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옥상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30일 진행된 개관 행사에는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참여하여 추억을 공유하고 새로운 문화 공간을 즐겼다.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은 시민들에게는 추억의 장소이자 새로운 문화 향유의 공간으로, 관광객들에게는 항구의 매력을 알리고 지역의 정체성을 되살리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은 각 지역이 가진 고유의 색깔을 바탕으로 매력적인 공간과 체험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관광 서비스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지방 소멸 위기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제 대한민국 곳곳에서 재탄생한 지역의 문화적 변화를 직접 체감하고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