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국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각 지역이 가진 고유한 자원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과 지속 가능한 관광으로의 전환이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지역 곳곳에서 다채로운 행사들이 기획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외형적인 성장을 넘어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중앙 정부 주도의 일률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가 관광 분야의 문제를 발굴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는 이 공모사업은 지역 관광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현장 주도형 체계로의 전환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영덕문화관광재단은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사업을 통해 대형 산불 참사 이후 감소한 외지 관광객을 다시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는 가성비 높은 여행 체험을 제공하며,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등 액티비티 및 웰니스 체험 코스를 통해 맞춤형 관광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완주문화재단은 지역의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접목한 미식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하며,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머무는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 두 지역 모두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새로운 관광 모델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특히, 군산문화관광재단은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을 통해 옛 군산항 여객터미널을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이라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켰습니다. 20년 만에 부활한 이 공간은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휴식, 문화의 거점이자 군산의 복고적인 매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층은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여 추억을 선사하고, 2층에는 휴식 공간과 독립영화 상영관, 회의실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옥상에서는 군산 내항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며 과거 어부들의 일상을 보여주는 연극과 노래, 종이비행기 날리기 등 다양한 개관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은 단순한 관광 시설을 넘어, 군산 시민들에게는 추억의 장소이자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관광객들에게는 항구의 매력을 알리고 지역의 정체성을 되살리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이처럼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에 선정된 군산문화관광재단, 강원관광재단, 영덕문화관광재단, 완주문화관광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 등 6곳의 재단 및 단체들은 각 지역 고유의 색깔을 드러내는 문화 콘텐츠를 발굴하고 개발하며 확산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제 남은 과제는 이러한 변화된 지역의 문화적 매력을 직접 체감하고 즐기며, 지역 관광 서비스의 성공적인 확산을 기대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