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 ‘청년의 날’을 맞아 전국 각지에서 청년들의 권리 증진과 자립, 성장을 응원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열리고 있다. 올해는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간 ‘청년주간’으로 운영되며, 수많은 지방자치단체가 청년들을 위한 풍성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하지만 청년의 날 행사들이 실제 청년들의 고민을 얼마나 해소하고 성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당초 행사 참여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았던 한 청년은 다양한 청년주간 행사 정보를 접하면서 인식을 바꾸게 되었다. 진로, 창업, 문화, 심리, 관계, 자기 계발 등 청년이라면 누구나 공감하고 고민할 만한 주제를 다루는 행사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이러한 행사 정보를 얻는 방법은 다양하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누리집에서 ‘청년정책’ 또는 ‘청년센터’ 관련 메뉴를 확인하거나, 지자체의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소식을 받아볼 수 있다. 또한,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서 ‘청년의 날’을 검색하거나 ‘청년의 날 + 지역명’으로 검색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다.
올해 청년주간에는 은평구의 ‘은평청년톡톡콘서트’, 순천의 <청년의 날 X 주말의 광장> 행사, 그리고 안성시의 <안성청년 쉴래말래?> 청년 축제 등 지역별 특색을 살린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었다. 특히, 은평구에서 열린 ‘은평청년톡톡콘서트’에 참여한 한 청년은 미디어 분야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유명 PD인 김태호 PD의 강연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9월 18일 평일 저녁임에도 불구하고, <무한도전>, <놀면 뭐하니?> 등을 연출한 김태호 PD의 강연을 듣기 위해 많은 청년이 객석을 가득 메웠다.
이날 강연에서 김태호 PD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콘텐츠를 기획하고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을 공유했다. 같은 미디어 산업 분야를 준비하는 청년들에게는 특히 공감대를 형성하는 내용이었다. 강연장에는 기자, 작가, 크리에이터 등 언론·미디어 분야를 꿈꾸는 예비 전문가들이 모여 함께 소통하고 즐거워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더불어, 수어 통역이 제공되어 모든 청년이 정보에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점은 행사의 포용성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했다.
이러한 강연은 청년들이 진로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왜 그 일을 하고 싶은지에 대해 다시 한번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무료로 양질의 강연을 접할 수 있다는 점은 큰 감사로 다가온다. 작년에도 ‘위라클’ 유튜브 채널 운영자 박위의 강연을 통해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자신만의 미디어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던 경험이 있었다.
청년의 날 행사에 참여하며, 이 날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에게 잠시 멈춰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소중하고 의미 있는 시간을 선물하는 날이라는 인식이 더욱 깊어졌다. 각 지역에서 열리는 다양한 관심 분야의 강연을 듣거나 부스를 체험하는 활동을 통해 청년들이 좋은 추억과 의미를 얻어가기를 기대한다. 앞으로도 이러한 청년의 날 행사를 통해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고자 하는 청년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기를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