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비 심리 위축과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내수 시장 전반의 활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가 소상공인 매출 증진과 내수 소비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해 온 ‘동행축제’가 지난 9월에 6634억 원이라는 상당한 매출 성과를 기록하며 그 효과를 입증했다. 이는 단순한 소비 촉진 행사를 넘어, 침체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온·오프라인 판매전을 통해 다각적인 방식으로 내수 진작에 기여했다.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총 630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이는 2만 7000개 사가 참여한 결과이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상승한 6700만 원,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 상승한 62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쿠팡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한편,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도 144곳의 지역 행사 및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이 발생했다. 이번 축제는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목표 아래,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려 해당 지역의 상권과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전체 오프라인 행사 중 비수도권이 76%, 인구감소 지역이 24%를 차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제주 개막식 행사와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 역시 뜨거운 호응 속에 각각 8500만 원과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지역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다.
더 나아가, 이번 동행축제는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 판매를 통해 내수 시장에 7268억 원의 추가적인 유동성을 공급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상품권을 구매하여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도록 유도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상생소비복권과 민간 기업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는 소비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축제에 참여하도록 이끌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는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에서의 결제를 유도했으며, 7개 TV 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의 적극적인 혜택 제공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 배달의민족 역시 제주 지역과 재난 피해 지역에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 회복을 지원하는 등 다각적인 방식으로 소비 활성화에 힘을 보탰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이번 동행축제가 가져온 긍정적인 효과를 강조했다. 정부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쇼핑, 여행, 문화를 아우르는 대규모 국가 단위 할인 축제를 통해 실질적인 소비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 경제 회복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