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모두가 우리나라를 알리는 공공 외교관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문화와 예술을 매개로 국민이 신뢰와 호감을 쌓는 ‘공공외교’는 정부 간 외교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고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공공외교의 의미를 국민이 직접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축제의 장인 ‘제7회 공공외교주간’이 지난 9월 8일부터 27일까지 한국국제교류재단(KF) 글로벌 센터와 각 대사관, 서울광장 등지에서 개최되었다.
올해로 7회를 맞이한 공공외교주간은 우리나라의 공공외교 현장과 문화를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으로 풍성하게 구성되었다. 이는 행사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이 서로의 나라를 더 잘 이해하게 함으로써, 국제사회 협력에 큰 힘이 될 호감과 신뢰를 쌓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행사의 일환으로, 필자는 딸과 함께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라는 워크숍에 참여하며 공공외교의 현장을 생생하게 경험했다. 커피를 즐기기 시작한 딸에게 콜롬비아 사람에게 직접 커피 이야기를 듣는 것은 흔치 않은 기회였기에, 워크숍에 대한 기대감은 매우 높았다.
워크숍은 한국과 약 17,800km 떨어져 있는 지구 반대편 국가인 콜롬비아와 한국이 어떻게 커피라는 작은 매개체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는 콜롬비아 커피의 역사와 중요성, 그리고 콜롬비아 커피 여행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콜롬비아의 세 개의 산맥과 화산재 토양 덕분에 1년 내내 커피 재배가 가능하며, 손으로 수확한 100%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커피 맛을 낸다고 설명했다. 또한, 콜롬비아에서는 천으로 만든 드립 커피 필터를 사용하고 ‘파넬라’라는 콜롬비아 설탕을 넣어 커피를 즐긴다고 소개했다. 커피가 가정에서 시작되어 점차 전문 시설로 확산되었으며,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군수품으로 수요가 증가했다는 역사적 배경도 흥미로웠다. 현재는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커피 재배 경관을 보기 위해 해외에서 커피 관광객이 몰린다는 사실 또한 콜롬비아 커피의 위상을 짐작케 했다.
이어서 콜롬비아 커피 전문가인 강병문 씨는 커피 제조 과정 중 콜롬비아의 풍부한 강수량으로 인해 빠른 발효와 부패 위험을 줄이기 위해 ‘워시드’ 방식을 주로 택한다고 설명하며, 직접 콜롬비아 커피를 내리는 시연을 보였다. 참가자들은 두 종류의 커피를 시음하며 각자의 취향에 맞는 커피를 찾는 즐거움을 누렸고, 세미나실은 어느새 향긋한 커피 향으로 가득 찼다. 같은 커피라도 사람마다 느끼는 맛과 향에 대한 선호도가 다르다는 점은 흥미로운 지점이었다.
커피 이야기에 이어, 전문가는 콜롬비아가 한국과 커피 외에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이유를 물었다. 바로 6·25 전쟁 당시 파병을 통해 한국을 도왔던 나라이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한국과 콜롬비아 양국이 무비자로 서로 방문할 수 있어 업무상 방문이 편리하다는 점은 양국 간의 친밀감을 더욱 높이는 요소로 작용했다. 콜롬비아 전통 모자를 쓰고 함께 사진을 찍는 참가자들의 모습에서, 지리적 거리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는 확신을 얻을 수 있었다.
공공외교주간은 단순히 문화를 체험하는 것을 넘어, 국가 간의 이해와 신뢰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외교부는 내년 예산안에서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는 민간 외교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현 시대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한다.
외교는 더 이상 정부만의 영역이 아니다. 국민의 지지와 참여 없이는 지속 가능한 외교가 불가능하며, 반대로 국민의 바람과 의견이 담긴 외교는 그 어떤 것보다 끈끈하고 강력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이러한 공공외교의 의미를 되새기고, 모든 국민이 공공외교의 주체로서 스스로를 인식하게 하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했다. 필자는 오는 26일에 열리는 스페인 행사에 아들과 함께 다시 한번 참여하며 공공외교의 장을 더욱 깊이 경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