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가 0.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지난 7월 예측보다 0.1%p 상향된 수치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두 배 가까이 높은 1.8% 성장률을 기록하며 잠재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전망은 한국 경제가 현재의 어려운 성장 국면을 지나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를 시사한다.
IMF가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3.2%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내년에도 3.1%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성장률 전망치 0.9%는 7월 전망보다 0.1%p 상향된 수치이며, 내년 1.8% 전망은 7월 전망을 그대로 유지한 것이다. 이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담고 있다.
선진국 그룹 전체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수정되었으며, 내년 역시 1.6%로 전망되었다. 미국 경제는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완화된 금융 여건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0.1%p씩 상향 조정된 2.0%와 2.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4.2%로 상향되었고, 내년에는 4.0%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 및 재정 확장 정책이 무역 불확실성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면서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4.8%와 4.2%로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면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 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주요 하방 요인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가속화,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실현될 경우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