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구매 시 작고 빼곡한 글씨로 된 제품 정보를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소비자들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는 ‘화장품 e-라벨’ 사업을 통해 제품 필수 표기 정보를 디지털 라벨로 제공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이 정책은 소비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패키지 공간 활용을 효율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화장품 패키지는 제품명,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필수 표기 정보와 함께 상세 정보까지 작은 글씨로 빼곡하게 인쇄되어 있어 소비자들이 정보를 파악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정보 인쇄는 포장지 면적을 많이 차지하여 패키지 디자인의 제약을 야기하기도 했다. ‘화장품 e-라벨’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품명, 영업자 상호, 내용물 용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소비자가 자주 확인하는 주요 정보는 기존처럼 패키지에 명확하게 표기하고, 안전 정보, 사용법, 성분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는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기기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러한 디지털 정보 제공 방식은 소비자에게는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제조사에는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패키지 인쇄 면적을 줄여 포장지 자원 절약에도 기여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소비 문화를 조성하는 데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2024년 3월부터 2025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이 진행된다. 1차 시범 사업에서는 6개사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했으며,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을 포함한 13개사 76개 품목으로 대상이 확대되었다.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은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 또는 “QR코드 스캔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문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도 예정되어 있어, 정보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소비자들도 더욱 쉽게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화장품 e-라벨’은 전자적 정보 제공 방식이므로 유효기간 없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앞으로 ‘화장품 e-라벨’ 정책이 확대 적용됨에 따라, 소비자는 더욱 편리하고 명확하게 화장품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는 안전한 화장품 사용 문화 조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