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한글이 단순한 문자를 넘어 K-문화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세계화 노력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87개국에 설립된 세종학당에서 14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다는 점은 한글의 국제적 파급력을 보여주는 분명한 증거이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을 더욱 확산시키고,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한국어와 한글의 경쟁력을 유지 및 강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지원과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을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끌어갈 언어 및 문자로 발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는 데 힘쓸 예정이다. 이는 한국어 사용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높여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기존 세종학당의 규모를 더욱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는 한국어 교육 접근성을 높여 국제적인 한국어 학습 수요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기 위함이다. 또한,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활용한 다양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하여 문화 콘텐츠로서의 한글 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나아가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에 맞춰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함으로써 기술 발전의 흐름 속에서 한국어의 정보화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한편, 다가오는 APEC 행사에서 ‘초격차 K-APEC’을 목표로 하는 만큼, 이번 행사를 통해 한글을 포함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함께 준비하고 있음을 밝혔다.
정부의 이러한 정책적 지원이 효과적으로 이행된다면, 한국어와 한글은 K-문화의 원천으로서 그 역할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세종학당의 확대와 한글 활용 상품 개발 지원은 한국 문화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더욱 증폭시키고,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즐기는 세계인이 더욱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은 한국어의 디지털 경쟁력을 높여 미래 사회에서도 한국어와 한글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영향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과거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선조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지켜낸 한글의 가치를 계승하고, 세계인이 사랑하는 문화의 원천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정부의 이번 정책적 행보는 한국 문화의 밝은 미래를 기대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