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게임 산업이 ‘세계 3위의 게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15일, 게임업체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 ‘펍지 성수’를 방문하여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고, 게임 산업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번 간담회는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산업적 가치로 전환하고,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려는 정부 정책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날 간담회가 개최된 배경에는 게임 산업에 대한 과거의 부정적 인식과 산업적 잠재력 간의 괴리가 존재한다는 점이 자리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 시작 전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를 체험하며 게임의 몰입도와 가상 세계에서의 경제 활동 가능성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다른 사람의 세계도 볼 수 있는 것이냐”, “이 세계에서 차 하나를 사려면 몇 시간 일해야 되느냐”와 같은 질문은 게임을 단순한 오락거리를 넘어 새로운 사회경제적 현상으로 바라보는 대통령의 시각을 드러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고 강조하며, 문화산업의 핵심 축으로서 게임 분야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산업으로 재인식’하고, 이를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제안은 게임 산업이 가진 경제적, 사회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게임 업계의 오랜 요구사항이었던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에 대한 대통령의 언급은 정책적 딜레마와 현실적 필요성을 동시에 반영했다. 이 대통령은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자 및 사업자의 요구와 더불어 ‘고용된 노동자들이 혹여라도 소모품처럼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단순한 규제 완화를 넘어, ‘양측의 의견을 모두 반영해 지혜롭게 해결해야 하는 정책 판단의 문제’임을 시사하며, 노동 환경 개선과 산업 발전의 균형점을 찾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예고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의 발언 역시 게임 산업의 진흥 필요성을 뒷받침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AI 기술을 통한 창의력 증대와 함께 산업으로서의 게임 진흥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김정욱 넥슨 대표는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을 위한 인식 개선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유승현 원더포션 대표는 “작은 규모의 지원이라도 보다 많은 팀들에게 제공되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제안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함께 노동시간, 문화콘텐츠 수출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 및 멀티 유즈 여부 등 게임 산업의 다양한 측면을 심도 있게 논의하며 지원 확충과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번 현장 간담회를 통해 게임 산업은 단순한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국가 경제와 문화 경쟁력을 견인할 핵심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게임 산업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일경험 기회 확대, 훈련 지원, 구직 활동 및 생계 지원, 중소기업 채용 장려금 지급 등 다각적인 정책 지원을 통해 ‘세계 3위의 게임 강국’이라는 목표 달성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 추진과 AI 분야 투자 확대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청년들이 게임 산업에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