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한국 문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이를 실질적인 문학의 사회적 연대 및 정서적 치유 가치 확산으로 연결시키는 데에는 여전히 과제가 남아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이러한 높아진 관심을 이어받아 문학의 본질적 가치를 대중에게 알리고자 기획되었다.
이번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기존의 주요 문학 행사들을 하나로 아우르는 통합 행사로서 전국 곳곳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축제의 핵심 메시지는 ‘문학은 또 다른 나를 찾는 여정’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독자들이 문학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타인의 삶에 공감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공유했다. 작가들은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와 같은 경험을 통해 글쓰기가 단순한 기술이 아닌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강조했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며, 글쓰기가 곧 ‘자기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만나는 통로’임을 일깨워주었다. 이러한 강연은 글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독자에게도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축제의 야외 프로그램 중 일부는 아쉽게도 비로 인해 취소되었으나,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와 같은 체험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에게 소중한 추억을 남겼다. 이러한 작은 체험조차도 축제가 문학을 일상 속에서 즐길 수 있는 기회임을 보여주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과 함께 전국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지는 생활 속 문학 축제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전국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풍성한 문화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2025 고양독서대전’과 같이 지역별 특색을 살린 행사와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진행되는 다양한 연계 행사들은 시민들이 문학을 더욱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과의 연계를 통해 9월 말에는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는 문학이 책장을 넘어 대담, 공연, 체험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결론적으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문학의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라는 가치를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 축제가 더 많은 시민들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