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은 ‘청년의 날’이지만, 많은 청년들은 이 날을 단순한 기념일로 여기거나 형식적인 행사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청년의 날’이 청년의 권리, 자립, 성장을 응원하는 본래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청년들은 ‘청년의 날’ 행사에 대해 참여할 동기를 찾기 어렵고, 딱딱한 행사들로만 구성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식은 청년들이 실질적인 도움과 성장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청년의 날’의 잠재력을 간과하게 만드는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하지만 올해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간 전국적으로 운영된 ‘청년주간’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준비한 다채로운 행사들은 과거의 형식적인 틀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공감하고 고민할 만한 주제들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진로, 창업, 문화, 심리, 관계, 자기 계발 등 다양한 분야의 행사들은 청년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얻고 성장의 동력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는 각 지역별로 특색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주목받았다. 예를 들어, 서울 은평구에서는 김태호 PD의 강연이 포함된 ‘은평청년톡톡콘서트’가 열렸는데, 미디어 환경 변화와 콘텐츠 기획에 대한 그의 통찰력 있는 강연은 미디어 산업을 준비하는 많은 청년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9월 18일 평일 저녁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무한도전>, <놀면 뭐하니?> 등을 연출한 김태호 PD의 강연을 듣기 위해 많은 청년이 모였다는 사실은 양질의 콘텐츠에 대한 청년들의 수요가 얼마나 높은지를 방증한다. 또한, 강연에 수어 통역이 제공되어 정보 접근성을 높인 점은 모든 청년이 동등하게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이처럼 ‘청년의 날’을 전후로 열리는 다양한 행사들은 청년들이 당면한 진로 고민, 경쟁에 대한 불안감, 그리고 자신에 대한 탐색 과정을 지원하는 실질적인 솔루션이 될 수 있다. 작년 ‘위라클’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박위의 강연을 통해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미디어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영감을 얻었던 경험처럼, ‘청년의 날’은 청년들에게 멈춰서 자신을 돌아보고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청년의 날’은 더 이상 형식적인 기념일이 아니라, 청년들이 스스로를 탐색하고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각 지자체 누리집의 ‘청년정책’ 또는 ‘청년센터’ 메뉴, 지자체 공식 SNS, 혹은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 등을 통해 지역별 행사 정보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참여하는 것은 이러한 기회를 현실로 만드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이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고민 해결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동기를 부여하는 중요한 날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