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가 이어지며 시민들의 몸과 마음은 지쳐가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후 현상은 일상에 활력을 잃게 만들고, 당장의 여행이나 문화생활조차 부담스럽게 느껴지게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인근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의 ‘길 위의 인문학’ 사업에 참여하며 시민들에게 새로운 활력과 사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본래 전국 곳곳의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가가77페이지는 독립 서점이라는 공간의 특성을 활용하여 이 사업을 통해 색다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가가77페이지는 ‘영화로 보는 인문학’이라는 주제로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SNS를 통해 신청자를 모집했다. 이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시민들이 일상에서 벗어나 깊이 있는 사유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상명 가가77페이지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이 지식 전달에 그치지 않고 ‘생각할 수 있는 밭’과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와 연계하고, 영화와 관련된 철학 및 문학 서적들을 통해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는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프로그램은 12세 이상(특정 영화는 15세 이상) 관람가를 기준으로 선정되어 폭넓은 참여를 유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실제로 지난 1회차 프로그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한 후,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강연을 통해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에 대한 인문학적 사유를 나누었다. 참여자들은 영화를 보며 느낀 점과 스스로의 생각을 활동지에 적고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영화 속 키팅 선생의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메시지는 참여자들에게 큰 울림을 주며, 자신의 삶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했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매주 월요일 저녁, 많은 사람들과 만날 수 있는 기다림의 시간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인문학이 사고와 마음의 밭을 만드는 학문이기에, 자신이 듣고 싶은 강연을 원하는 방식으로 듣기 위한 좋은 선택지가 ‘길 위의 인문학’이었다고 밝혔다. 또한,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인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도 의미와 재미를 함께 느낄 수 있도록 주제 선정부터 영화, 작가, 책까지 신중하게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인문학의 위기를 이야기하는 시각에 대해 이상명 대표는 오히려 AI 시대에 인문학의 활용 영역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AI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느냐는 구조화된 사고 체계에 달려 있으며, 이러한 사고 체계의 근원이 바로 인문학이라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인문학적 완성도를 갖춘 사고가 AI에 접목될 때, 효율성과 합리성을 넘어 도덕적인 사고까지 가능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출판 및 서점 업계의 어려움 속에서도 가가77페이지는 책방이야말로 다른 어떤 곳보다 복합문화공간으로서 활용할 여지가 많다고 보고 있다. 책만 파는 것이 아닌, 다양한 문화를 담고 즐기며 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남고 싶다는 이상명 대표의 포부는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책방을 문화적 중심지로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프로그램 참여자인 박근주 씨 역시 동네 책방 소식을 SNS를 통해 접하다가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속에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싶다고 말했다. 반복적인 일상에서 벗어나 강연자와 다른 참여자들과 소통하며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는 그의 바람은, ‘길 위의 인문학’이 제공하는 교류의 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박근주 씨는 프로그램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며, 인문학은 꾸준한 성찰과 대화 속에서 깊어지는 분야이기에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참여가 배움의 효과를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 아래, 인문학과 지역문화,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이 만나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가가77페이지에서 확인된 이러한 만남의 장은, 전국 각지에서 펼쳐지는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조용했던 동네 책방을 월요일 저녁마다 활기찬 문화 공간으로 변화시키고, 시민들에게는 양질의 프로그램을 무료로 접할 기회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 책방 활성화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반기에도 전국 곳곳에서 이어질 인문학 프로그램의 열기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