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9%로 상향 조정하면서, 내년에는 1.8%로 대폭 반등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올해 성장률을 0.1%p 높인 수치이며, 내년 전망치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IMF의 이러한 전망은 한국 경제가 내년에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보여준다.
이러한 전망은 최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경제 주체들의 적응력이 향상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IMF는 지난 10월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전반적인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이는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높은 수치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3.1%로 전망했다. 이러한 글로벌 경기 회복세와 더불어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재고 조정 및 무역 경로 재편을 통한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IMF는 선진국 그룹(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41개국)의 올해 성장률을 1.6%로 수정했으며, 내년에도 1.6%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2.0%, 2.1%로 상향 조정했다. 신흥개도국 그룹(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국) 역시 올해 성장률을 4.2%로 높여 잡았으며, 내년에는 4.0%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으로 무역 불확실성의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며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4.8%, 4.2%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글로벌 물가 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 속에서도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하지만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진다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언급했다. 이러한 IMF의 전망은 한국 경제가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점진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