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글씨로 빼곡하게 채워진 화장품 패키지의 정보가 소비자들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제품 뒷면을 꼼꼼히 살피며 유의사항과 소비기한을 확인하려는 소비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작은 글씨 크기로 인해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염색약과 같은 제품의 경우,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성분이나 사용법 등 상세 정보를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기존의 표기 방식으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비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화장품 e-라벨’ 사업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화장품 e-라벨’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사업으로, 화장품의 필수 표기 정보를 디지털 라벨 형태로 제공하는 정책이다. 소비자는 제품 패키지의 QR코드를 스캔하여 모바일 기기를 통해 화장품의 상세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품명, 영업자의 상호 및 주소, 내용물의 용량 및 중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 등 소비자가 자주 찾는 핵심 정보는 더 큰 글씨로 제공되며, 안전 정보, 사용법, 보관법, 제품의 품질 특성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는 QR코드 안의 누리집을 통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작은 글씨로 인한 불편함 없이 정보를 쉽게 읽을 수 있게 되었으며, 제조사 역시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화장품 패키지는 제품명,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필수 표기 정보와 함께 보관법, 제품 품질 특성 등 부가 정보까지 좁은 면적에 모두 집어넣어야 했다. 이로 인해 글자 크기가 작아져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했으며, 소비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화장품 e-라벨’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수 표기 정보는 텍스트로 유지하되, 상세하고 부가적인 정보는 QR코드 속 디지털 라벨로 옮겨 담았다. 기능성화장품 표시를 포함하여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까지 필수로 기재해야 했던 이전 방식에 비해 패키지에 드러나는 정보량이 크게 축소된 것이다.
이번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1차 시범 사업에서 6개사 19개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제품군을 확대하여 13개사 76개 품목으로 늘렸다.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은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 또는 “QR코드 스캔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문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안내되어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정책을 쉽게 인지하고 활용하도록 돕는 중요한 장치이다.
‘화장품 e-라벨’은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포장지 자원을 절약하는 데에도 기여하여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음성변환 기능(TTS)까지 도입될 예정이어서, 더욱 많은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화장품 정보를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 소비자는 스마트폰 하나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화장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정확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제품 선택과 사용에 있어 더욱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