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 위기가 관광 분야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관광 콘텐츠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단순히 스쳐 지나가는 관광지가 아닌,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는 체류형 관광으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는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이 지역 관광의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사업은 중앙 정부 중심의 획일적인 관광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 관광 서비스를 개선할 과제를 발굴하고 해결해 나가는 현장 주도형 체계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영덕문화관광재단은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사업을 통해 대형 산불 참사 이후 감소한 외지 관광객을 다시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가성비 높은 여행 체험을 제공하며,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등 맞춤형 관광 요소를 액티비티와 웰니스 체험 두 가지 테마 코스로 구성했다. 또한, 완주문화재단은 지역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활용한 미식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하며 지역의 숨겨진 매력을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영덕군과 완주군을 포함한 총 6개 지역(군산문화관광재단, 강원관광재단, 영덕문화관광재단, 완주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이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지역다움이 묻어나는 문화 콘텐츠를 발굴하고 확산시키는 데 힘쓰고 있다.
특히, 이 사업을 통해 군산항 여객터미널이 20년 만에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이라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새롭게 재탄생했다.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살려 재현한 1층은 ‘선유도 직행’이라는 문구와 함께 복고적인 감성을 자아내며, 2층에는 휴식 공간과 독립영화 상영관, 회의실 등이 마련되어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문화와 휴식, 체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거듭났다. 지난 30일 진행된 개관 행사에서는 옛 어부의 일상을 보여주는 연극과 노래, 희망 종이비행기 날리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많은 이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은 과거 군산항을 이용했던 사람들에게는 추억을 선사하고, 새로운 방문객에게는 항구의 매력과 지역의 정체성을 알리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은 지방 소멸이라는 거대한 문제에 직면하여 지역 고유의 문화와 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관광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과 같이 지역 주도로 새롭게 태어난 공간들이 지역민에게는 추억과 문화를, 관광객에게는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하며 지역 관광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지역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민국 곳곳에서 지역 고유의 색깔을 담은 매력적인 공간과 체험이 변화된 관광 서비스로 관광객을 맞이할 준비를 마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