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출범 82일 만에 개최된 첫 한미 정상회담이 양국 간 협력을 한층 강화할 확고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미국의 공세적인 대외정책이라는 도전 과제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의 개인적인 신뢰와 유대감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양국 간 협력 증대에 있어 가시적인 성과와 의미 있는 진전으로 이어졌다.
이번 정상회담의 배경에는 이재명 정부가 직면한 문제점, 즉 한미 정상 간 신뢰 부족과 이로 인한 잠재적인 ‘코리아 패싱’ 우려가 존재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외교와 정상 간 ‘케미’를 중시하는 성향을 보이는 만큼, 이재명 대통령과의 개인적인 신뢰 및 유대감 형성은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지난 6월 G7 정상회의에서 두 정상의 첫 만남이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귀국으로 무산되면서, 한미 정상회담의 조속한 개최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었고, 이는 회담 목표 설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우리 정부는 ‘트럼프 맞춤형 패키지’를 준비하며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개인적 유대감 형성을 위한 치밀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재명 대통령의 트럼프 대통령 정치적 리더십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담은 모두 발언은 딱딱할 수 있었던 회담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의 취향을 반영한 금속 거북선, 황금 퍼터, 마가(MAGA) 모자 등으로 구성된 선물 꾸러미는 긍정적인 회담 분위기 조성에 기여했다. 특히 김정은 위원장에게 ‘러브콜’을 보내며 북한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을 극찬하고, ‘피스 메이커(peace maker)’와 ‘페이스 메이커(pace maker)’ 역할을 통한 양국 정상의 소통과 협력을 제안한 것은 이번 정상회담의 핵심 전략이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과 이재명 대통령의 노련함이 결합된 결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남북 관계 개선 노력을 지지하며, 북한 문제 해결에 있어 우리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을 명확히 했다. 이는 향후 북미 관계 개선 시 발생할 수 있는 ‘코리아 패싱’ 우려를 불식시키고, ‘남북미 협상 2.0’을 통해 한반도 긴장 완화 및 비핵화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이번 정상회담은 ‘한미 양국 간 협력 증대’라는 또 다른 중요한 목표에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거뒀다. 우리 정부는 ▲한미 경제·통상의 안정화 ▲한미동맹의 현대화 ▲한미 간 새로운 협력 분야 개척을 목표로 설정했다. 회담 결과, 경제·통상 분야에서는 지난달 말 합의된 한미 관세 협상을 통해 예측 가능성과 안정성을 회복하는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으며, 투자, 구매, 제조업 협력 등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를 통해 향후 후속 협상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한미동맹의 현대화 측면에서도 양국 간 논의에 진전이 이루어졌다. 동맹의 발전 방향과 한국의 국방 역량 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 협의가 이루어졌으며, 이재명 대통령이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설에서 천명한 한국의 국방비 증액과 같은 한반도 방위를 위한 우리 군의 주도적 역할 확대는 한미동맹의 미래형 전략화를 위한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기여를 확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더 나아가, 조선과 원자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미 협력 확대라는 가시적인 성과도 창출되었다. HD현대와 서버렛스캐피탈(Cerberus Capital) 간 선박 MRO 역량 강화, 조선소 현대화, 선박 공동 건조 등을 위한 공동 투자펀드 조성이 논의되었으며, 두산에너빌리티와 엑스에너지(X-energy)는 소형모듈원자로(SMR) 상용화 협력에 합의하는 등 구체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또한, 조선, 원자력, 항공, LNG, 핵심광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이 구체화되었다.
이와 더불어 한미 양국 대통령 비서실장 간 핫라인 구축은 향후 경제, 안보, 관세 등 제반 분야에 걸친 양국 간 협의를 관리하고 촉진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양국 간 현안을 신속하게 다룰 수 있는 소통 채널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결론적으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82일 만에 개최된 첫 한미 정상회담은 미국의 공세적인 대외정책이라는 도전 과제 속에서 양국 정상 간 신뢰를 구축하고, ‘코리아 패싱’ 우려를 불식시키며, 경제, 안보, 미래 신산업 분야 등에서 실질적인 협력 증대를 이뤄냈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회담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한미 관세 협상과 한미동맹 현대화의 구체적인 내용에서 우리의 이해관계가 얼마나 충실히 반영될지가 이재명 정부의 ‘국익중심 실용외교’를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보여준 정부의 치밀한 준비, 노련한 대응, 단호한 결정은 보다 대등하고 상호 호혜적인 한미 관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든든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