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게임 산업이 세계 3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으나,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청년 일자리 문제와 개발자 노동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10월 15일, 이재명 대통령은 게임업체 크래프톤의 ‘펍지 성수’를 방문하여 ‘세계 3위의 게임강국으로 레벨업’을 주제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게임사 대표, 음악·번역 전문가, 인디게임 개발자, 인재원 학생 등 다양한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이번 간담회는 이 대통령이 주재한 첫 번째 게임 분야 간담회로서, 게임을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드는 핵심 동력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지원 의지를 표명하는 자리였다. 이 대통령은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몰입도를 산업으로 재인식’하고, 이를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를 체험하며 게임 콘텐츠의 다양성과 미래 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간담회에서 게임 업계는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을 포함한 다양한 요구 사항을 제기했다. 엔씨소프트 김택진 대표는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 속에서도 AI 기술을 통해 창의력을 증대할 기회가 생기고 있음을 언급하며 산업 진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넥슨 김정욱 대표는 게임을 전략 품목으로 삼아 글로벌 진출을 위한 인식 개선을 촉구했으며, 인디게임 업체 원더포션의 유승현 대표는 소규모 지원이라도 더 많은 팀에게 제공될 때 효과가 클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 같은 현장의 의견을 경청하며,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 문화 콘텐츠 수출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저작권 및 멀티 유즈 등 다양한 측면을 꼼꼼히 짚어가며 지원 확충이나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을 이어갔다.
한편, 노동시장에서는 청년 고용 상황 개선을 위한 정책 강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최근 저성장 국면과 AI 기술 발달 등으로 인해 청년들이 겪는 노동시장 진입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재학-구직-재직’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통해 진로 탐색 및 취업 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2025년부터는 미취업 졸업생을 대상으로 현직자 멘토링 등 특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K-디지털 트레이닝, 국민취업지원제도 등을 통해 일경험 기회와 훈련을 제공하며, 중소기업의 일자리 확대를 위한 채용 장려금 및 근속 인센티브도 지원한다. 특히,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통해 ‘쉬었음 청년’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며, 중소기업의 노동 환경 개선 및 청년 선호 일자리 확대를 통해 질적 일자리 창출에도 힘쓸 계획이다. 더불어 AI 분야 투자 확대와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충하여 양질의 일자리가 근본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처럼 정부는 게임 산업 육성과 더불어 청년 고용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과 같이 개발자들의 소모품화 방지 및 지혜로운 해결책 마련에 대한 대통령의 언급은, 단순한 산업 진흥을 넘어 개발자들의 노동 환경 개선이라는 과제 역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게임 강국으로의 도약과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정책과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균형 있게 반영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