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해 서민 경제가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소상공인과 영세 자영업자들이 운영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국민들이 겪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해소하고 민생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14일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국민 패널 110여 명과 함께 ‘디지털 토크 라이브-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를 개최하고, 국민들이 직접 체감하는 민생·경제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번 행사는 ‘국민사서함’에 접수된 민생·경제 분야 정책 제안을 중심으로, 국민들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공유하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는 ‘국민주권 실현’과 ‘참여와 소통’을 국정 운영의 핵심 가치로 삼고 있는 대통령의 철학을 반영한 행보다.
이날 행사에서 다뤄진 안건들은 ‘국민사서함’에 접수된 총 3만 8741건의 제안 중, 국민들의 실질적인 고통을 대변하는 경제·민생 분야(1만 7062건, 전체의 44%)에 집중되었다. 특히 소상공인 금융 지원 확대, 고물가로 인한 생계비 부담 완화, 전통 시장 경쟁력 강화, 영세 자영업자 운영 자금 지원, 지역 화폐 활성화 등 국민들의 삶과 직결된 핵심 민생 과제들에 대해 심도 깊은 토론이 이루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국민사서함’을 통해 보내주신 국민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들이 오늘 토론의 출발점”이라며, “고금리와 고물가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계신 국민 여러분의 절박한 목소리를 무겁게 듣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민주권정부의 정책은 국민의 삶과 동떨어져서는 안 되며, 현장의 목소리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변함없는 신념”이라고 강조하며, “오늘 주신 생생한 말씀들을 정책으로 다듬어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나아가 “정부의 역할은 국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 나은 삶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현실적인 대안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감 없이 제시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번 ‘디지털 토크 라이브’는 ‘1부: 현장의 목소리’와 ‘2부: 대통령의 약속, 국민과의 대화’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모든 과정은 유튜브 이재명TV, KTV 국민방송, 참여 크리에이터 채널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생중계되어 국민 누구나 토론 현장을 접할 수 있도록 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디지털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 변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국민의 참여를 확대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한 정책 수립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