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은행을 찾았던 한 시민은 고액 이체 과정에서 예전과 달라진 까다로운 절차에 당혹감을 느꼈다. 이는 최근 급증하는 보이스 피싱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금융권의 새로운 움직임이다. 특히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금융 사기가 지능화되고 피해 규모가 커지면서, 은행들은 고객의 소중한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은행연합회를 비롯한 전 은행권은 보이스 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강화된 문진 제도 시행에 나섰다. 창구를 이용해 고액 인출이나 이체 거래를 하는 고객은 보이스 피싱 피해 예방 홍보 동영상을 반드시 시청해야 하며, 실제 발생한 최신 보이스 피싱 사례에 대한 안내도 받게 된다. 이는 사기범이 정부 기관을 사칭하며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을 요구하는 전형적인 수법과 유사한 상황에 놓였을 경우, 고객 스스로 이체를 멈출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조치다.
더불어 은행권은 보이스 피싱 등 금융 사기 전담 창구를 설치하는 등 예방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kfb.or.kr)에서는 신종 금융사기 유형 안내, 사기 유형별 예방 방법, 보이스 피싱 피해 구제 절차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고객들의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 이후에는 명절 관련 정보를 사칭한 보이스 피싱이 급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출처 불분명한 문자나 링크 클릭을 자제하고 의심스러운 전화는 즉시 끊은 후 해당 기관이나 가족에게 확인하는 습관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보이스 피싱 및 문자 결제 사기 범죄 피해액은 7,99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특히 7월에는 월별 피해액으로는 역대 최대치인 1,345억 원을 기록했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 속에서 금융감독원과 경찰청은 금융사기 통합 신고 대응센터(1566-1188)를 24시간 운영하며, 발신 번호 확인 및 신고 이력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악성 앱 설치 피해자를 위한 경찰서 방문 시 전용 제거 앱 설치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9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보이스 피싱 정책,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하며, 피해 예방 및 구제 관련 신규 제도 제안, 빅데이터 및 AI 활용 방안 모색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수하고 있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들이 모여 보이스 피싱 범죄로부터 고객의 금융 자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더욱 안전한 금융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