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를 맞아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정작 핵심적인 기반이 되는 데이터 축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많은 공공 서비스 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 시스템’이 부재하거나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서비스 개선은 물론이고 사용자 경험 저하까지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선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이는 진정한 AI 전환이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로그(Log)’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 즉 로그인, 파일 삭제, 시스템 오류 등 다양한 사건들을 시간 순서대로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웹사이트의 메뉴 이용 현황 파악, 페이지 로딩 속도 점검, 사용자 이탈 원인 분석 등 서비스 품질 향상과 운영 효율성 제고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재 상당수의 공공 서비스는 이러한 로그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어떤 메뉴가 많이 사용되는지, 페이지 로딩 속도가 얼마나 느린지, 사용자가 어떤 지점에서 불편함을 느끼고 이탈하는지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로그가 없는 웹페이지를 일만 년을 운영한들, 그 서비스는 조금도 좋아지지 않는다”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용자들은 공공 서비스 이용 시 불필요한 불편과 좌절감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AI 시대의 요구에 발맞춘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하며,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활동 기록, 즉 로그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공공 서비스 운영에 있어 로그 시스템을 철저히 구축하고, 모든 업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이용 행태와 시스템 운영 정보를 자동으로 축적해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가 쌓여야만 AI 비서가 과거 유사 사례를 분석하여 시너지를 제안하거나, 회의록 내용을 바탕으로 해야 할 일과 책임자, 마감일 등을 자동으로 정리하고 캘린더에 연동하는 등의 혁신적인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결론적으로, AI 전환은 단순히 최신 기술을 도입하는 것 이상을 요구한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클라우드 활용의 중요성 인지, 그리고 무엇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스마트하게 일하려는 준비가 필요하다. 공공 서비스 현장의 로그 부재 문제는 디지털 전환의 근본적인 허점을 드러내며,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AI 시대에 뒤처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따라서 로그 시스템 구축과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운영 체계 확립이 시급한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