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 마주했던 낡고 기능이 다한 시설들이 예술과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새로운 생명력을 얻고 있다. 과거 쓰레기 소각장이라는 오명과 함께 버려질 운명이었던 부천아트벙커B39가 대표적인 사례다. 이는 단순히 낡은 시설의 변화를 넘어, 경제적 어려움과 도시 개발의 이면에 가려졌던 사람들의 삶과 그들의 지혜가 어떻게 문화적으로 재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부천아트벙커B39의 역사는 3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92년, 부천 중동 신도시 건설과 환경부 지침에 따라 부천 삼정동에 쓰레기 소각장 설치가 결정되면서 건축 허가와 건물 착공이 시작되었다. 1995년 5월부터 본격 가동된 삼정동 소각장은 서울과 수도권에서 발생한 하루 200톤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핵심 시설이 되었다. 그러나 1997년, 환경부의 소각로 다이옥신 농도 조사 결과, 삼정동 소각장에서 허가 기준치의 20배에 달하는 고농도 다이옥신이 검출되면서 큰 파장을 일으켰다. 마을 주민들과 환경 운동가들은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생명을 담보로 엄격한 관리 기준 마련, 개선 조치, 그리고 소각장 폐쇄 운동을 벌였다. 한 번 잃어버린 신뢰는 쉽게 회복되기 어려웠고, 결국 2010년 폐기물 소각 기능이 대장동 소각장으로 이전 및 통합되면서 삼정동 소각장은 가동을 중단했다. 쓰레기를 태우던 기능마저 다한 이 건물은 역사 속으로 사라질 운명에 놓였다.
하지만 도시에도, 건물에도 운명이 있기 마련이다. 삼정동 폐소각장은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선정되는 전환점을 맞았다. 이를 통해 2018년, 이 곳은 복합문화예술공간 ‘부천아트벙커B39’로 새롭게 문을 열며 과거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대중 앞에 섰다. 과거 쓰레기가 태워지던 소각로는 이제 하늘과 채광을 가득 끌어들여 다양한 각도와 높이에서 관람할 수 있는 ‘에어갤러리(AIR GALLERY)’로 변신했다. 거대한 굴뚝과 소각로의 외형은 그대로 보존된 채, 눈부신 햇살을 받아 과거와 현재를 잇는 독특한 공간을 만들어낸다. 건물 안쪽으로 들어서면, 과거 쓰레기 저장조였던 벙커(BANKER) 공간이 지하 깊숙한 곳에서부터 39m의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인 거대한 상자로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낸다. 이곳은 모든 쓰레기들이 마지막 관문을 거치던 공간으로, ‘B39’라는 이름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벙커와 연결된 쓰레기 반입실은 현재 멀티미디어홀(MMH)로 활용되며, 소각동 2층과 3층에는 펌프실, 배기가스처리장 등 기존의 육중한 설비 기반이 그대로 남아 과거를 증명하고 있다. 특히 기존 중앙청소실을 리모델링한 아카이빙실에서는 ‘RE:boot 아트벙커B39 아카이브展’이 상설 전시 중이다. 이 전시는 다이옥신 파동과 시민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그리고 소각장이 어떻게 주민들이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공간으로 변모했는지 그 생생한 역사를 보여주며 깊은 감동과 여운을 선사한다. 건물을 나서며 마주하는 벽화는 2021년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결과물로, 동네 어린이집 아이들의 작품이 소각장을 상징하는 굴뚝 모양의 나무와 함께 무럭무럭 자라 숲을 이루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러한 도시 재생의 노력은 부천의 또 다른 풍경, 즉 서민들의 애환이 담긴 음식 문화에서도 발견된다. 과거 가난과 허기를 이겨내며 탄생한 지혜의 음식들은 이제 일상이자 가벼운 별식이 되었다. 과거 마산의 활기 넘치던 어시장과 한일합섬이라는 섬유 제국, 그리고 부천에 2000여 개가 넘었던 공장들과 1970년대 말부터 80년대 초 수도권 인구 증가율을 훨씬 뛰어넘는 수직 상승을 기록했던 부천의 모습은 경제 성장기의 역동적인 도시의 단면을 보여준다. 양귀자의 소설 ‘원미동 사람들’이 그려낸 가난 속에서도 치열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특히 주머니 사정이 가벼운 서민들이 애정하는 감자탕과 뼈다귀해장국은 미군 부대에서 나온 돼지 뼈다귀와 알감자를 닮은 뼈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전해질 정도로, 개발도상국 시절의 애환이 담긴 음식이다. 이러한 음식들은 낯선 외국인들에게도 K-푸드의 매력으로 다가가고 있으며, 이는 과거의 어려움을 딛고 일어선 사람들의 지혜와 노력이 문화적으로도 풍요로움을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오랜 시간 견디고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