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이 9월 3일부터 28일까지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을 주제로 제1회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를 개최하며 한국 전통 음악극의 현재를 조명하고 미래를 향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축제가 열리는 가운데, 국립극장의 이번 축제는 제1회 개최라는 상징성과 더불어 세계적인 음악극 축제로의 도약을 예고하며 특별한 의미를 더한다.
축제의 근간이 되는 창극은 판소리를 바탕으로 하되, 여러 배우가 각자의 배역을 맡아 연극적인 형태로 공연하는 한국 고유의 음악극이다. 1900년대 초 형성되어 꾸준히 발전해 온 창극은 판소리의 창, 아니리, 발림 등의 요소를 계승하면서도 다인극이라는 점에서 1인 또는 2인극 형식의 판소리와 차별화된다. 이번 <세계 음악극 축제>는 이러한 창극을 중심으로 동시대 음악극의 흐름과 현재를 살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국립창극단을 주축으로 4주간 총 9개 작품, 23회 공연이 진행되며, 이 중에는 해외 초청작 3편, 국내 초청작 2편, 그리고 국립극장 제작 공연 4편이 포함된다.
축제의 개막작으로는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무대에 올랐다.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바 있는 요나 김이 극본과 연출을 맡은 <심청>은, 기존의 고전소설 <심청전>의 틀을 넘어 효녀 심청을 억압받았던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재해석했다. 전통 판소리의 깊이는 유지하면서도 오늘날의 시선으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 이 작품은 관람객들로부터 뜨거운 호평을 받고 있다. <심청>은 28일까지 공연되며, 축제 기간 내내 관람할 수 있다.
축제의 또 다른 하이라이트인 해외 초청작으로는 홍콩의 월극 <죽림애전기>가 국내에 첫선을 보였다. 가면을 쓴 배우들이 서사에 맞춰 노래, 춤, 연기와 무술을 결합한 <죽림애전기>는 위나라 말기부터 진나라 초기를 배경으로 죽림칠현의 후손들의 삶을 그린다. 도가 철학과 은둔의 미학을 좇는 이들의 이야기는, 중국 광둥성을 기반으로 발전한 월극에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이미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은 바 있는 이 작품은, 한국과 중국의 전통 음악극을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와 함께 국내 초청작으로는 조선 말 여성의 삶을 다룬 <정수정전>이 관객들을 만났다. 작자 미상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정수정전>은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다채로운 캐릭터와 서사를 엮어냈다. 유교 사상이 팽배했던 조선 시대, 여성으로서 자신의 이름을 지키며 당당하게 살아가고자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에 응시하는 정수정의 이야기는 당시 여성들의 애환을 보여주며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정수정전>은 배우들이 작창과 창작에 참여하는 공동 창작 방식으로 제작되어, ‘모든 것의 중심에 너를 두거라’는 메시지를 통해 관객들에게 자신을 중시하는 삶의 태도를 되새기게 했다.
이번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주제를 시작으로, 앞으로 점차 범위를 넓혀 전 세계의 다양한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국립극장은 이번 축제를 통해 한국 전통 음악극의 우수성을 알리는 동시에, 다양한 문화 간의 교류와 소통을 촉진하는 장을 마련했다. 또한, 관람객들을 위한 부루마블 이벤트 등 다채로운 즐길 거리도 제공하며 축제의 흥미를 더하고 있다. 축제는 9월 28일까지 국립극장에서 계속되며, 향후 아시아문화전당, 국립민속국악원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 공연도 예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