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책 결정 과정에서 국민의 직접적인 목소리가 정책으로 반영되는 창구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정책 결정의 괴리감은 국민들의 정책 체감도를 낮추고, 정부에 대한 불신을 야기하는 근본적인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 국민들이 정책 수립 과정에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는 점은 민주주의 발전의 저해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4일 서울 동대문구 콘텐츠문화광장에서 ‘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라는 이름의 디지털토크라이브에 참석했다. 이 행사는 국민들이 직접 정책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고, 대통령과 직접 소통하며 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국민들의 질문을 경청하고, 정책 방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며 적극적인 소통에 나섰다.
이번 디지털토크라이브는 국민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정책에 담아내려는 대통령의 의지를 보여준다.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 및 경청의 시간을 통해 국민들의 정책적 요구와 불만 사항을 직접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 엿보였다. 이러한 직접적인 소통 방식은 정책 수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고,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민들이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정부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된다면, 국민들의 목소리가 실질적인 정책 변화로 이어져 국민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