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국제표준화기구(ISO) 기술이사회(TMB) 연임에 성공하며 국제표준화 무대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되었다.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르완다 키갈리에서 개최된 ISO 총회에서, 한국은 2028년까지 기술이사국으로 활동하며 ISO의 기술정책 결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했다. 이는 국제사회가 한국의 기술표준화 역량을 다시 한번 인정했음을 시사한다.
이번 연임은 한국이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직면할 수 있는 잠재적인 영향력 감소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국제 표준화 활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술이사회(TMB)는 ISO의 신규 표준위원회 설립 및 해산, 표준위원회 간 업무 조정, 의장국 임명 등 ISO의 표준 활동을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핵심적인 의사결정 기구라는 점에서, 이사회에서의 활동은 곧 국제표준화 방향을 결정하는 데 있어 한국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국은 이번 총회에서 ‘GPS 기반 개인 위치 서비스 기술’ 분야 표준위원회 설립을 제안하고, ISO 회원국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주관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또한, 캐나다, 이탈리아 등 주요국의 표준화 기관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에도 힘썼다. 오는 12월 개최 예정인 ‘국제 AI 표준 서밋’에 주요 인사들의 참여를 요청한 것 역시 한국이 미래 기술 표준화 논의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이번 연임을 계기로 “국제표준화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리더십을 가지고 국제사회가 신뢰하는 표준 강국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는다면, 한국은 국제 표준화 논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미래 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표준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굳건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