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곤충들이 기후변화로 인해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 정화, 식물의 수분 매개, 먹이사슬의 핵심 역할 등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이지만, 현재 급격한 기온 상승으로 서식지를 잃거나 개체 수가 급감하는 현상이 속출하며 인류에게 보내는 경고로 해석되고 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인식과 해결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국립과천과학관은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개최하며 곤충의 가치와 기후변화와의 연관성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전시는 약 4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진화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 온 곤충의 역사를 소개한다. 곤충은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독특한 생존 전략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으로 자리매김했지만, 현재 기후변화 앞에서는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전시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곤충의 생존 위기를 8종의 생물지표종을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기고 있다. 반면,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온 상승에 빠르게 적응하며 오히려 서식지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는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에 처한 대표적인 종으로 꼽힌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미 멸종 위기에 놓인 종들에게 가해지는 기후변화의 영향이다.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의 감소로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며,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이 감소하며 멸종 위기에 놓였다. 한국꼬마잠자리의 경우,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에서 완전히 사라지기에 보존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
이러한 곤충의 위기는 결국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라는 근본적인 문제에서 비롯된다. 온실가스는 지구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며 해수 온도 및 해수면 상승까지 야기한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적인 해결책은 바로 ‘탄소중립’이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여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립과천과학관의 이번 전시는 곤충의 변화를 인류를 위한 경고로 해석하며, 관람객들이 지구의 미래를 위한 다짐을 작성하도록 유도한다.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 역시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생활 속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곤충을 매개로 한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류에게 미칠 파급력을 인식하고,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 한번 생각하며 일상 속 탄소중립 실천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해당 전시는 10월 26일까지 국립과천과학관 곤충생태관에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