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대형 화재 및 붕괴 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은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소방청은 급격히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 자율기구인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정부가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정책 기조에 발맞춘 핵심적인 조치라 할 수 있다.
새롭게 개편되는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기존의 소방현장활동 지원을 위한 첨단장비 연구개발 및 기획 업무를 이어받는 동시에, 소방 정책에 인공지능을 비롯한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하는 과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기술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곧 예상치 못한 극한의 재난 상황에서도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실제로 지난달 23일 ‘2025 아시아 기계 & 제조 산업전(AMXPO)’에서 공개된 현대로템의 무인소방로봇과 같이, 이미 다양한 첨단 장비들이 재난 현장에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소방청은 궁극적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히 일회성 조직 개편을 넘어, 미래 사회가 직면할 다양한 위협에 대한 소방의 대응 능력을 한층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의 안전망을 더욱 튼튼하게 구축하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