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 및 붕괴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은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절감케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소방청은 급격히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하는 조직 혁신을 단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라는 주요 국정과제와 맥을 같이 하는 조치다.
새롭게 신설된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단순히 기존 기능을 계승하는 것을 넘어, 미래 재난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과는 소방현장 활동 지원을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 업무를 총괄한다. 더불어, 소방 정책 수립 및 집행 과정에 인공지능 등 첨단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과제를 발굴하고, 해당 기술에 대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과거의 사후 대응 방식에서 벗어나, 과학기술에 기반한 예측 및 예방 중심의 재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소방청은 첨단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는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혁신은 미래의 예측 불가능한 재난 상황 속에서도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한층 강화된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