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낯섦에서 일상으로’가 지난 9월 9일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2전시장에서 개최되었으나, 행사의 이면에 담긴 근본적인 ‘문제점’은 중증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과 안정적인 판로 확보의 어려움이다. 그동안 중증장애인 생산품은 시혜나 보호의 대상이라는 틀에 갇혀, 일상적인 소비재로서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해왔다. 이는 중증장애인 생산자들이 경제적 자립을 이루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지속하는 데 큰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박람회는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 아래, 중증장애인 생산품의 가치를 직접 체험하고 소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직업재활 체험 부스에서는 종이 쇼핑백 만들기, 꽃 만들기 등의 활동을 통해 생산 과정의 노동 강도와 섬세함을 시민들에게 알렸다. 참여자들은 이를 통해 제품 하나가 탄생하기까지의 수고로움을 직접 느끼며, 단순한 체험을 넘어 생산 현장의 무게를 공감했다. 특히, 체험에 참여한 금천구 박O광 씨(32)는 “쇼핑백 손잡이를 꿰매는 과정이 생각보다 어렵더라고요. 몇 번이나 실수했는데 옆에서 선생님이 손을 잡아주며 도와주셨습니다. 마지막 매듭을 완성했을 때 제 손으로 끝까지 해냈다는 성취감이 크게 다가왔습니다”라며, 장애인 생산품이 정직하게 만든 생활 속 제품으로 받아들여지기를 희망했다. 강서구의 이O도 씨(27) 또한 “이번 경험이 일자리로 이어져 더 많은 청년 장애인이 안정적인 일터에서 일상을 이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하며, 박람회의 주제가 자신의 삶과 맞닿아 있음을 밝혔다.
한편, 전시장 안쪽에서는 ‘래그랜느 쿠키’, ‘쌤물자리’ 등 다양한 중증장애인 생산품들이 ‘맛·품질·가격’을 앞세워 관람객들의 발길을 붙잡았다. 특히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에서 선보인 제설제와 세정제는 ‘장애인 생산품=소품’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리며 산업 현장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높은 품질을 증명했다. 제품 앞에 선 생산자들의 당당한 표정은 ‘맛·품질·가격’으로 승부하며 제값을 받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주었다. 이는 경쟁이 동정이 아닌 실질적인 경쟁력으로 증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무대 위에서는 우선구매 유공자 포상과 함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협약식 등 판로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약속들이 이어졌다. 공공 조달 담당자와 생산 시설 종사자들이 부스 한가운데서 납품 조건을 논의하는 모습은 안정적인 수요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박람회의 핵심 목표가 현장에서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이번 박람회는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시민들의 직접적인 소비와 공공기관의 구매를 통해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구호가 아닌 현실로 만들었다. 쿠키 한 봉지, 쇼핑백 하나가 누군가의 내일 출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진실은, 소비가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적 통합을 이끄는 강력한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 중증장애인 생산품 시장의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