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국민들의 정신건강이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얼어붙은 경제 상황과 글로벌 경기 침체, 예측 불가능한 전쟁, 지정학적 불안정, 고물가, 고금리, 청년 실업, 저출산과 고령화 등 산적한 문제들은 국민들의 삶을 옥죄고 있으며, 이는 자살률 통계로까지 나타나 모두의 마음을 무겁게 하고 있다. 학생들은 입시와 취업 준비에 지쳐 희망을 잃어가고 있으며, 어렵게 취업에 성공하더라도 미래에 대한 확신은 사라진 지 오래다. 예측성이 떨어지는 사회는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작은 자극에도 짜증과 분노가 폭발하는 일상이 되었다. 특히 노인들은 질병, 경제적 어려움, 외로움 속에서 사회적으로 소외되며 더욱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조차 사치로 느끼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대한민국은 잠시 숨을 고르고 우리 자신을 다시 바라볼 필요가 있다. K-pop, K-drama, K-food는 이미 세계인의 일상에 스며들었고, BTS, 블랙핑크, 영화 ‘기생충’, ‘오징어게임’ 등은 한국 문화를 세계 중심 무대로 이끌었다. 이는 단순한 유행이 아닌, 오랜 시간 축적된 창의성과 끈기, 노력의 결실이다. 경제적으로도 대한민국은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정보통신, 의료, 교육, 치안 등 여러 분야에서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해외에서는 대한민국의 질서, 시민의식, 안전함에 놀라며, 밤늦은 시간에도 거리를 활보할 수 있고 카페에 귀중품을 두고 자리를 비워도 안심할 수 있는 평범함에 경탄한다. 이러한 객관적인 현실에도 불구하고, 물질적 풍요는 이루었지만 정서적으로는 더 불안하고 고립되었으며 쉽게 지쳐버리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는 모순적인 상황에 놓여 있다.
이는 어쩌면 너무 열심히, 너무 오랜 시간 앞만 보고 달려온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경제 성장이나 기술 발전이 아닌, 삶의 가치를 회복하고 지나온 삶을 돌아보며 잠시 여유를 갖는 일, 그리고 마음을 회복하는 일이다. 대한민국은 이미 전쟁의 폐허 속에서 산업화를 이루어냈고, 국민들의 뜨거운 열정으로 민주화를 성취했다. 부모 세대의 찢어지는 가난 속에서도 자녀 교육을 포기하지 않고 모든 것을 희생하며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끈기와 저력은 단순한 운이 아닌, 우리 민족 속에 깊숙이 자리한 ‘희망의 유전자’ 덕분이다. 이제 우리는 어려운 현실 앞에서 주저앉을 것인지, 아니면 수많은 위기를 이겨낸 그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것인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야 한다. 답은 분명하다. 우리는 할 수 있고 이미 수없이 해냈다. 맞서야 할 것은 외부의 위협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마음속에 품은 불안과 두려움, 부정적인 생각이다.
새 정부는 특정 지역이나 집단의 정부가 아닌, 국민 모두의 정부, 우리의 정부여야 한다. 많은 국민이 변화와 혁신을 기대하는 가운데, 정부는 국민의 희생과 열정을 기억하고, 이 열정과 에너지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 국민이 가진 창의성, 근면성, 공동체 정신은 사회를 다시 한번 도약시킬 소중한 자산이다. 정부와 대통령은 국민을 믿고, 국민은 정부의 진정성과 방향성을 신뢰할 때 진정한 회복이 가능하다.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는 ‘희망의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그 토양을 만들고 햇살을 비추는 것이 지금 가장 필요한 일이다. 앞으로도 많은 난관이 예상되지만, 이제는 ‘혼자 버티는’ 시간이 아닌 ‘함께 걸어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앞만 보며 달려온 길 위에서 잠시 멈춰 옆 사람을 살펴야 한다. 내 옆에 지쳐 있는 누군가를 일으켜 세우고, 나 또한 누군가의 손에 의지해 일어설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건강한 사회다. 우리 속에 간직한 희망의 유전자는 오랜 고난과 좌절 속에서도 살아남았고,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가슴 속에 뜨겁게 살아 있다. 이제는 그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