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종료된 9월 동행축제가 총 6634억 원이라는 높은 매출을 기록하며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는 온·오프라인 판매전은 물론,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 판매까지 포함한 수치로, 소상공인 매출 증진이라는 행사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이번 동행축제가 개최된 배경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지속되는 경기 침체와 소비 심리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놓인 어려운 경제 상황이 자리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내수 소비를 진작시키고 소상공인의 실질적인 매출 증대를 지원하기 위해 전국 단위의 대규모 소비촉진 행사인 동행축제를 기획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9월 동행축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내수 시장 활성화에 집중했다. 먼저, 온라인 판매전에는 총 2만 7000개의 업체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큰 호응을 얻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전국적인 소비 회복에 기여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대폭 늘려, 해당 지역 상권과 소비자 간의 접점을 넓히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전국적인 소비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동행축제의 취지를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개막식이 열린 제주에서는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의 방문객이 찾는 등 성황을 이루었으며, 51개 제주 지역 소상공인이 참여한 판매전에서 85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기도 했다.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판매전에서도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대기업과의 상생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이와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민간 기업 주도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 또한 주목할 만하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는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 이용을 장려하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특별 혜택을 제공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및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대한 할인 쿠폰을 발급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의 회복을 돕는 따뜻한 행보를 보였다.
이러한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결과는 국민들의 따뜻한 소비가 소상공인에게 희망의 불씨가 되고, 나아가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 정부는 이러한 성과를 발판 삼아 10월 말에는 기존 할인 축제들을 통합한 대규모 국가 단위 할인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통해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