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우리 문학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 속에서,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확산시키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타고 문학의 저변을 넓히려는 야심 찬 시도이다. 이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그간 산발적으로 진행되어 온 국내 대표 문학 행사들을 하나로 아우르는 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러한 통합 노력은 단순히 행사 개최를 넘어, 문학이 우리의 일상 속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이번 문학축제의 핵심적인 부분 중 하나인 ‘문학주간 2025’는 ‘도움―닿기’라는 주제를 내걸고, 문학이 삶의 균열을 비추고 서로에게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이 되기를 희망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댐으로써 함께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자는 것이다. 특히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인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서는 ‘글쓰기에 필요한 태도’에 대한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이 공유되어 참석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와 같은 말들은 글쓰기가 단순한 행위를 넘어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웠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충고로 작용했으며, 글쓰는 행위가 결국 자기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만나는 통로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강연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독자에게도 깊은 성찰의 기회를 제공했다.
하지만 축제의 모든 프로그램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야외 프로그램의 경우, 예기치 못한 비로 인해 일부가 취소되는 아쉬움을 남겼다. 스탬프 투어나 문학 퀴즈와 같은 체험 프로그램은 진행되지 못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와 같은 작은 체험은 가능했으며, 참가자들에게 오래 기억될 만한 즐거움을 선사했다. 이러한 일부 차질에도 불구하고,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에 더해 전국 각지에서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문학 축제로서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 현재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다채로운 문화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2025 고양독서대전’은 지역 사회에서 문학의 저변을 넓히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필자가 거주하는 고양시에서도 10월에 ‘2025 고양독서대전’이 열릴 예정이며,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지역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연계 행사가 진행 중이다. 또한,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 역시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이번 문학 축제를 계기로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문학은 단순히 책장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읽고, 만나고, 쓰면서 즐길 때 더욱 큰 힘을 발휘한다. 이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더 많은 시민들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