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이 미국 토니상 시상식에서 6관왕을 차지하며 한류의 성공적인 서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이러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맞이하여, 28년 전 한류의 태동기로 거론되는 시점을 되짚어보는 것은 그 의미가 깊다. 사계의 최고 권위 있는 시상식인 에미상, 그래미상, 오스카상, 토니상을 모두 석권하는 EGOT라는 용어는 이제 한국 작품과 예술가들이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류가 오늘날의 위상에 이르기까지, 그 시작점을 두고 여러 논의가 존재한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1997년 6월 15일, 중국 CCTV에서 방영된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는 한류의 남상(濫觴)으로 가장 강력하고 설득력 있는 주장으로 꼽힌다. 당시 한국에서 1991년 11월부터 1992년 5월까지 55부작으로 방영되어 최고 시청률 64.9%를 기록했던 이 드라마는, 중국 시청률 4.2%와 평균 시청자 수 1억 명이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우며 중국 내에서 한국 드라마로서 최대의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단순히 한 편의 드라마가 큰 인기를 얻은 것을 넘어,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가 해외에서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초로 확인시켜 준 사건이었다.
<사랑이 뭐길래>의 중국 방영 이후, 중국에서는 후속 방영 요청이 쇄도했으며 CCTV는 2차 방영권까지 구매하여 1998년 저녁 시간대에 다시 편성하는 등 그 인기를 이어갔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드라마에 대한 중국 내의 높은 관심으로 이어졌고, 이를 바탕으로 ‘한류’라는 현상이 본격적으로 점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비록 ‘한류’라는 용어 자체는 1999년 11월 19일 베이징에서의 보도를 통해 처음 등장했지만, 그 이전부터 <사랑이 뭐길래>를 통해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에서 수용되고 확산되는 ‘실행으로서의 한류’, ‘현상으로서의 한류’는 이미 시작되고 있었던 것이다.
물론 한류의 기원에 대한 논의는 <사랑이 뭐길래> 이전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주장들도 존재한다. 1993년 드라마 <질투>의 중국 방영, 1994년 영화 <쥬라기 공원>의 아젠다 등장과 함께 대중문화 콘텐츠 산업에 대한 인식 변화, 1995년 SM 출범, CJENM의 영상 산업 진출, 뮤지컬 <명성황후> 초연, SBS 드라마 <모래시계> 방영 등 다양한 사건들이 한류의 원년으로 거론된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사랑이 뭐길래>가 가지는 화제성, 상징성, 그리고 실제적인 영향력은 한류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기점으로 가장 강력한 설득력을 지닌다.
<사랑이 뭐길래>를 한류의 시작점으로 볼 때, 현재까지 한류의 역사는 약 28년이 된다. 이는 한 세대에 해당하는 짧지 않은 시간이지만, 시대 구분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당시 중국이 한국 드라마와 K팝을 수용한 배경에는 서구 문화에 대한 경계심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여겨진 한국 문화가 대체재로 소비된 측면이 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용을 바탕으로 한국 대중문화는 끊임없는 내부 경쟁과 창작자들의 치열한 노력을 통해 콘텐츠의 완성도와 보편적인 소구력을 높여왔다.
그 결과, 영상 콘텐츠 분야에서는 <겨울연가>, <대장금>, <별에서 온 그대>, <태양의 후예>를 거쳐 <기생충>, <오징어 게임>과 같은 세계적인 작품들이 탄생했다. K팝 역시 2011년 SM의 파리 공연을 기점으로 BTS, 블랙핑크, 스트레이키즈, 세븐틴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이 K팝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이러한 한류의 폭발적인 발전은 중국 시장과의 관계를 넘어, 순수한 문화 콘텐츠의 힘으로 이루어진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최근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토니상 6관왕은 28년 전 <사랑이 뭐길래>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했던 한국 대중문화가 이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무대 예술 분야에서도 인정받는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이는 한국 대중문화가 창조적 천재성을 전 세계에 보여주고, 나아가 한국인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1997년 6월 15일, 중국 CCTV에서 방영된 <사랑이 뭐길래>의 작은 씨앗이 오늘날 세계를 아우르는 거대한 한류라는 결실을 맺기까지, 우리는 그 의미 있는 시작점을 다시금 기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