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의 빠른 속도 속에서 시민들은 일상에 지쳐 문화 활동을 즐길 여유를 잃어가고 있다. 특히 직장인이나 바쁜 일정을 소화하는 이들에게는 극장을 찾아 공연을 관람하는 것 자체가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이러한 문화 향유 기회의 축소 문제는 예술 접근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 속에서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 예술 공연을 선보이며 시민들의 문화 갈증을 해소하는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한다.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다채로운 공연들은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는 단순히 공연 관람의 기회를 늘리는 것을 넘어,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발걸음을 멈추면 도심 한복판에서 예술을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에게 특별한 문화적 휴식을 제공한다.
1950년 창단 이후 한국 연극계를 대표해 온 국립극단은 올해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며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화요일 오후 7시 30분에는 ‘명동人문학’ 강연을,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연극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를 제공하며 시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한층 더 높이고 있다. 특히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된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적인 연출과 관객 참여 유도는 단순한 수동적 관람을 넘어 공연의 일부가 되는 강렬한 예술 경험을 선사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관객층을 확대함으로써, 시간을 내어 극장을 찾기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 자연스럽게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인다. 20~40분가량의 짧은 공연 시간은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며, 별도의 예매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예술 공연은 예술이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혹시 명동을 찾기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에서 전국 각지의 ‘문화가 있는 날’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할인 혜택, 국공립 시설 무료 관람 및 연장 개방, 도서관 대출 혜택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문화 향유 기회를 찾을 수 있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길 콘텐츠를 찾는다면 가까운 곳에서 열리는 작은 무대, 혹은 명동에서 펼쳐지는 거리 공연이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쉼표와 같은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